철학자와 늑대 - 괴짜 철학자와 우아한 늑대의 11년 동거 일기
마크 롤랜즈 지음, 강수희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동물 이야기를 좋아하는 나로써는 철학 교수가 11년간 자신이 키운 늑대 이야기를 풀어놓은 책이라는 말에 솔깃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다보니 내가 호감도 100%의 마음 자세로 책을 집어들었다는 점만큼은 알아주셨음 한다. 진짜로 재밌을 줄 알았다. 흥미로울만한 요소들이 많았으니 말이다. 요즘 흔하지 않은 늑대를 주인공으로 한데다--개나 고양이, 부엉이, 앵무새의 이야기가 흔해진지는 이미 오래다.--그 주인이 철학자라니...뭔가 대단한 이야기가 나오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했었더랬다. 하지만 그런 기대는 초반 몇 페이지를 읽어내려가면서 이미 산산히 부서지고 말았으니...이 책은 동물을 애완용으로 키우면서 알콩달콩 벌어진 일들을 써낸 것이 아니라--이것이 내가 책을 읽기전에 기대했던 이야기--늑대를 키우면서 " 저자 자신" 이 "무슨" 생각을 했는가를 주로 써낸 것이라는 것이 분명해졌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늑대를 키우면서 사랑과 죽음과 행복을 알게 되었다면서 늑대에게 무한 감사를 하고 있는 사람이, 정작 그 늑대를 주인공으로 하는 책에서조차 늑대가 주인공이 아니었다는 뜻이다. 인간보단 동물에게 더 애착을 갖고 있던 나로써는--그것이 다만 활자에 한정된 것이라는게 부끄럽긴 하지만서도.--심하게 실망스러울 수밖엔 없었다. 적어도 내가 기대한 것은 이 저자의 철학적인 견해가 전혀 아니었다. 실제로 기대할만한 내용도 없었고 말이다. 그래도 마지못해( 일단 책을 집어들었으니...) 늑대를 통해 그가 깨닫게되었다는 소위 그의 '늑대 철학' 에 귀를 기울여는 봤으나, 이를 어째? 그것들이 별로 흥미롭지도 공감이 가지도 새롭다는 생각도 들지 않았다. 그보단 묘하게 성가시단 느낌만 받았으니, 참으로 이상한 일 아닌가. 뭐랄까. 뒤를 쫓아 다니면서 사사건건 잔소리를 해대는 상사나 엄마를 보는 그런 느낌이랄까. 아니면 자신이 태생부터 다른 사람보다 우월하고 잘났으며 언제나 도덕적이라고 주장하는 거만한 귀족을 보는 듯한 느낌? 작가가 직업이 교수다보니 매사에 사람들에게 교훈을 주고 경고를 해야 한다는 강박이 있으신 것 같던데, 왜 인간이 동물보다 우월한 것은 아니라고 그렇게 역설을 해대시는 분이, 자신의 책을 읽는 사람들이 자신보다 열등할 것이라고 지레 짐작하시는 것인지가 당최 이해되지 않았다. 왜 그냥 현대에선 보기 힘든--아니 아마도 고대에서도 보기 드물었을 듯---늑대를 키우는 경험을 그냥 아무 생각없이 즐기는 수준으로 묘사할 수는 없었던 것일까? 그의 생각을 듣는것보단 그 늑대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것이 훨씬 더 재밌을 것 같더만, 교훈도 넘치고 말이다. 저자는 그 재밌는 일화들에 자신의 개똥 철학을 끼워 넣느라 무진장 애를 쓰고 있었다. 덕분에 늑대를 키우면서 순간을 즐기는 그들의 습성에 감명을 받았다는 그가 왜 늑대와 함께 한 순간들을 그저 즐기는게 아니라 교훈을 얻어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인지 앞뒤가 맞지 않는 기분이었다. 그런 앞 뒤가 맞지 않는듯한 느낌은 책 곳곳에 산재한다. 현대 인간들의 행복 추구 내진 행복 중독증에 대해 마구 비아냥 대더니만, 자신의 늑대 개의 딸들이 행복하기를 바란다고 하는 장면에선 자신이 대단히 박애자인듯 구는 것만 봐도 그렇다.  기본적으로 둘은 같지 않나? 인간이 바라는 행복이라는 것이 그 늑대가 고통 없이 살기를 바라는 수준에서 벗어나는 것이 아니니 말이다. 왜 작가가 원하면 인간적인 것이고, 다른 사람들이 원하면 중독이라는 것인지 그의 자기 중심적인 사고는 봐주기 힘들었다. 철학자로써는 꽤나 이름이 높은 분일지 모르지만서도, 작가로써는 균형감각에 좀 문제가 있지 않나 싶다. 거기에 일관성이 없어 보인다는 점과 자신은 무조건 옳다는--아무리 그렇지 않다는 증거를 들이민다고 해도--고집씨다운 발언에 살짝 반발감이 든다는 것도 별로였다. 앞 표지 사진을 보니, 그가 키운 늑대가 정말 멋기긴 하던데...이렇게 멋진 늑대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서 자신의 이야기로 2/3를 채우는 것은 또 무슨 나르시즘이란 말이냐...그러면서도 동물이 인간보다 우월한 존재라는 것에 대해 일장 연설을 늘어놓으시던데, 왜 그런 것에 설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조차 갑갑하더라. 적어도 책을 많이 읽는 분은 아니신듯 한 것이, 요즘 동물학 책이나 심리학, 다만 늑대에 관한 책에 관이라도 읽어봤다면 이런 주장으로 지면을 할애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몰랐을리 없었을텐데란 생각이 들었다. 그의 생각들이 살짝 빗나갔거나 치우친 듯한 느낌이 드는 것도 그때문이지 않을까 한다. 남들이 이미 상관하지 않는 것을 심각하게 고려한다던지, 별 것이 아닌데도 호들갑을 떤다던지 하는 것들 말이다. 적어도 팔리 모왓의 <울지 않는 늑대>를 봤다면 어떻게 동물에 관한 책을 써야 하는가에 대해 팁을 얻을 수 있었을텐데 싶어 아쉬웠다. 하여간 그래도 저자가 주장한 것들 중에서 한가지는 확실히 맞지 싶은 것이 있었다. 작가가 키운 늑대 브레닌이 이 작가보다 훨씬 우월하고 나은 존재라는 사실 말이다. 그것에만은 나도 반박할 수 없었다. 진짜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