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느 영국인 아편쟁이의 고백 ㅣ 세계문학의 숲 3
토머스 드 퀸시 지음, 김석희 옮김 / 시공사 / 2010년 8월
평점 :
이 책도 미안하다. 그다지 감명 받지 못했다. 재밌지도 않았던건 말할 것도 없고. 나름 있는 용기를 다 내어서, 자부심까지 느껴가면서--내가 아니면 이런 글 못 쓴다네 라는--쓴 책인데, 고작 이런 평밖엔 내리지 못해서 죄송하다. 하지만 , 이 책은 최신이 아니다. 한 물 간 것이 확실히 느껴진다. 고리타분하고, 중독에 대해 중독자 자신도 별로 아는바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고백록으로도 그다지 감동적이지 않았다. 그 자신은 죄인이 아니라고, 마약 중독에 대해 꺼릴게 없다는 식으로 발언하고 있던데, 물론 중독의 해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자 끊거나 줄여야 겠다는 생각과 노력은 하는것 같았지만서도, 그의 말을 듣고 있으면 이런 생각이 절로 떠올랐다.
내가 하면 로맨스요, 네가 하면 불륜이다.
내가 하면 가벼운 음주요, 네가 하면 알콜 중독이다.
내가 하면 기분 전환용 마약 사용이요, 네가 하면 마약 중독자일 뿐이다.는...
아마도 그게 중독자들의 특성인가보다. 이 책이 나온 뒤로 중독의 메카니즘에 대해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는 것은 참으로 다행스런 일이다. 중독자 자신조차 이해 못하는 중독에 대해 이해하게 해주니 말이다. 아무리 자신에 대해 객관적인 잣대를 들이댄다고 한들, 과학적인 메카니즘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잘못된 오해로 빠지기 쉽상이다. 인간이란 얼마든지 변명 거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지성을 지닌 존재이며, 굳이 변명을 하지 않겠다는 의도라도 그럴듯한 착각에 빠지는 것은 어렵지 않은 일이니 말이다. 자신이 똑똑하다고 해서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건 철저한 오만이요, 무지인 것이다. 아직까지 그렇게까지 똑똑한 사람은 만나보지 못했는데, 이 책의 저자 역시 마찬가지였다.
하여간 이 책의 저자인 토머스 드 퀸시가 마약을 상용하게 된 것은 육체적인 고통에서 벗어나고픈 생각에서였다고 한다. 이해 가는 대목이다. 지금이라면 진통제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었을테지만, 그가 살았던 당시엔 고통이란 참을 수 밖에 없는 삶의 과정에 불과했을테니 말이다. 고통이나 중독에 대해 무지한 시절이었다는 뜻이다. 아마 그가 지금을 살고 있다면 진통제 중독에 시달렸을지도 모르지만서도, 적어도 고통에 대해 무심하지 않다는 점에선 안도감을 느낄 것이다. 인간은 원래 고통에 적응하며 살아가게 되어 있는 동물이 아니니 말이다. 해서 그가 고통때문에 마약에 중독되었단 것에는 비난을 가하기 어렵다. 하지만 그 중독이 괜찮은 것이었다고 강변하는데는 조금 반발이 일었다. 어쩔 수는 없는 것이라고 해도, 그게 좋은건 아니니 말이다. 안타까운 사실이고, 안스러운 일이지, 아무 일도 아닌건 아니란 뜻이다. 그래도 칠 십이 넘게 사신걸 보면 마약이 생명을 단축시키진 않은 모양인데, 그의 고백에도 불구하고 내가 불만스럽게 생각했던 것은 그가 마약 때문에 어떤 인생을 살았는지, 내진 그의 마약 중독 때문에 그 주변 사람들이 어떤 고통을 감내해야 했을지는 이 책에 나와 있지 않았다는 점이었다. 어쩌면 내가 이 책을 보면서 가장 의아하게 여기고, 반발하게 된 것도, 그가 자신의 이야기만 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것일 것이다.
과연 그의 가족들은 그의 중독에 대해 어떤 심정이었을까? 그들도 과연 괜찮다고 생각했을까? 그들은 전혀 고통을 당하지 않았을까? 그들은 남편이자 아버지인 사람이 마약에 절어 멍때리고 사는 모습을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했을까? 그것에 대해 별반 언급이 없다는 점이 아마도 이 고백록의 치명적인 단점일 것이다. 더불어 반쪽짜리에, 솔직하지 못한, 한 물간 고백록이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것도 그때문이다.
어쩌면 중독자는 자신만 생각하며 살아가는 이기주의자란 말이 맞는지도 모르겠다. 마약이 악몽을 선사해준 것을 제외하면 그럭저럭 나쁘지 않았다고, 오히려 좋았기에 그것 없이는 살아갈 수 없었다고 말하는걸 보면 말이다. 그의 경우만 보자면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자신이 자신을 서서히 파괴해 간다는데 누가 뭐라 하겠는가. 사강이 주장했듯이, 자신을 파괴할 권리를 막을 방법은 없다. 다만 문제는 그에게 가족이 있을 시, 그런 주장을 하는게 과연 타당한가 하는 것이다. 나로 인해 고통을 당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것이 나의 가장 가까운 가족들이라면, 단지 내가 아무런 피해가 없다고 주장하면서 괜찮다고 한들, 먹힐 것인가 하는 것이다. 과연 그게 상관없는 일일까? 생각해볼만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