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책 읽는 시간 - 무엇으로도 위로받지 못할 때
니나 상코비치 지음, 김병화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흠. 나도 이럴줄 몰랐다. 다른 리뷰어의 글을 읽고는 맘에 들 줄 알고 기대 잔뜩하고서 본 책인데, 전혀 마음에 들지 않았으니 말이다. 왜일까? 도무지 이해가 되질 않는다. 이런 상황이 전혀 마음에 들지도 않고 말이다.


일단 암으로 죽은 언니에 대한 이야기가 늘어지는 것이 별로였다. 왜 죽은 사람은 늘 모든 면에서 완벽한 사람이었던 것인지 모르겠지만, 착하고, 영리하고, 똑똑하고 ,선량하고, 재밌고 뭐, 절대 죽지 않았음 좋겠을 특별한 사람이 죽었다는건 알겠다. 그런데 그걸 너무 자세히 설명하다보니 오히려 반발심이 생기더라. 암으로 고통스럽게 죽은 사람에 대해 반발심이 생기게 하는 글쓰기라...어떻게 생각하시는가? 뭔가 잘못되어도 한참 잘못 되었지 않나? 그런 사연이 있을 시 원래 뉘앙스만 내비쳐도 사람들은 뭐라 못한다. 세상에, 가족이 암으로 죽었다네! 그것도 비교적 젊은 나이에! 고통스럽게!!!  거기에 어떤 다른 말이 필요하겠는가. 덧붙이지 않아도 사람들은 충분히 어떤 기분일지 이해한다. 동정받고 이해받지 않기가 불가능한 그런 상황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작가는 그 비극을, 언니의 특별함과 비극성을 강조하기 위해선지 올망졸망 이말 저말을 사이사이에 하도 늘어 놓다보니 어느새 반발심이 드는 나를 발견하게 되더라. 그래, 죽은 가족이 있는게 너뿐이더냐. 고통스럽게 사는게 너뿐이냐고? 그만 좀 해라 싶은... 아마도 나는 작가가 생각하는 것만큼 그녀의 언니에 대해 알고 싶지 않았던 모양이다. 그녀의 자매 사이의 일화에 대해서도. 아니, 솔직히 그녀 가족들의 이야기 자체가 전부 별로 땡기지 않았다. 그녀가 생각하는 만큼 그녀의 가족이 흥미롭진 못했던 모양이다. 적어도 내겐 말이다.


그래도 이런 저런 책에 대해 이야기 한다기에 ,적어도 새로운 책에 대한 정보를 얻겠지 라며 내심 기대를 많이 했건만 ,그것도 별로 소득이 없었다. 그녀의 말에 별로 공감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안 읽은 책이라서 그런건 아닐 것이다. 걔중엔 읽은 책도 꽤 있었으니까, 그리고 읽은 책에 대해서만 공감을 한다면 서평에 대한 책이 왜 필요하겠는가. 다른 작가의 서평책에선 읽지 않은 책임에도 그들의 생각을 따라가다보면, 공감을 하는건 어렵지 않았다. 단지 이 책에서는 그게 안 됐을 뿐이다. 이걸 설명해줄 가장 가능한 설명은 아마도 취향차라는 것일 것이다. 그게 가장 그럴듯한 설명이다. 책을 감상하는 눈도 내 기준으로 보면 감상적인 쪽으로 치우져서 배울만한 점이 없었다. 같은 책에 대한 느낌도 상당히 달라서 우리가 같은 책을 말하고 있는게 맞는가 했다.  오히려 작가의 설명을 듣다보면 내가 읽은 그 책에 대한 느낌이 오염되는 듯한 기분이었다. 대표적인 걸 들자면, 얼마전 내가 수작이라고 거품을 문 <버드나무 ...>를 이 작가는 이렇게 설명한다.


"<버드나무 숲에 부는 바람>의 동물들...(아서왕을 읽은 다음에 본 책이라) 영국 시골 생활은 정말 지루해 보였다. 몰과 래트의 모험이라는 것도 실은 한바탕 헛소동일 뿐이고, 마지막 전투를 읽을 때는 하품이 났다. 족제비의 침공이나 미끌미끌한 두꺼비로는 흥분하기에 부족했다. >...음, 내겐 전혀 지루하지 않았는데... 전작으로 뭘 읽었는가는 상관없이 말이다. 그리고 몰과 래트라...두더지와 물쥐를 말하는 것 같은데, 왜 그냥 명사로 직역을 하지 않았을까. 그리고 족제비가 침공하는 부분이 있던가? 기억나지 않는다. 있다고 해도 줄거리엔 크게 상관이 없는 것이었을 것이다. 중요하지 않은 부분이었다는 뜻이다. 그리고 그 미끌미끌한 두꺼비가 그 책의 하일라이트인데, 왜 흥분하지 않았을지. 내겐 충분히 흥분할만한 캐릭터였는데 말이다. 하여간 이렇게 같은 책을 두고도 보는 눈이 다르니 이 책이 재밌을리 없었다. 작가의 설명이 그 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 못한건 말할 것도 없고. 추억조차도 되살려 주지 못하더라. 왜 같은 책을 읽은 사람들만이 느낄 수 있는 그 오묘하고 아련한 공감대 말이다. 뭐, 그럼에도 책 뒷편에 그녀가 읽은 책 목록이 주루륵 나와있다는 점은 반가웠다. 모르는 새 책을 잔뜩 알게 되었으니 말이다 . 작가의 설명은 싹 잊어버리고 그 책들은 읽어볼 생각이다. 그게 오히려 더 낫지 않을까 싶다.

 

그나저나, 난 왜 이 책이 맘에 들지 않은 것일까?  내가 지금 조금 이상한 상태인걸까? 상태가 이상하다고 괜히 심술을 부릴 나는 아닌데 말이다. 더군다나, 언니가 죽어서 그 상실감과 고통에 책을 읽게 됐다고 말하는 착한 동생의 책 아닌가? 이렇게 되면 난감해지고 뜨끔해진다. 싫은 소리 하기 곤란해지고 말이다. 괜히 내가 나쁜 사람이 된 거 같은 기분이 든다. 어쨌거나 죽은 사람을 생각해서라도 맘에 안 든다는 말은 하지 말아야 할 것 같은데, 그러지 못해서 나도 기분이 좋지많은 않다.


아, 그렇다고 오해는 마시길. 작가가 글을 못써서 내가 싫어한다고 말이다. 그건 아니다. 이 작가가 분명 글을 잘 쓰긴 한다. 오히려 너무 잘 쓴다. 술술 매끄럽게 이야기를 너무도 잘 펼쳐지니 말이다. 그런데 난 그 문장들 속에서 진심을 발견하지 못했다. 공감을 주고 통찰을 얻게 하며, 세상에 대한 이해를 돕는 그런 진심 말이다. 사람의 마음을 울리게도 하고, 눈물을 흘리게도 하며, 아하~~~라는 순간을 만들어주기도 하는... 독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집중하게 하고, 고개를 저절로 끄덕이게 만드는 그런 진심 말이다. 더불어 작가가 옆에 있다면 꽉 안아주고 싶어지게 하는 그런 진심. 왜 나는 이 책에선 그런걸 못 느꼈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느끼지 못한걸 느꼈다고 할 수는 없으니까. 별 한 개를 주고 싶지만, 1년 내내 하루에 한권씩 읽었다는 정성이 대단하고, 언니를 잃었다니 가엾고, 또 내가 지금 정상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전제하에, 별 한 개를 더 추가한다. 그러고보면 책도 사람처럼, 만날 때가 중요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내가 다른때 이 책을 봤다면 그녀의 말에 절절히 공감을 했을지도 모르니 말이다. 뭐, 지금보단 낫게 볼 수는 있을지 모르지만서도 , 솔직히 절절히는 자신이 없다. 하여간 약간의 여지는 남겨 두자는 의미에서 미련없이 별 두 개~~! 예쁜 표지값도 쳐서 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06-05 10: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이네사 2012-06-05 10:53   좋아요 0 | URL
하하하...수정 했는데, 이제 괜찮나요? 글씨가 커도 보기 안 좋군요. 전 너무 글씨가 작을까봐 일부러 크게 한 거였는데, 앞으로 참고 해야 겠습니다.

아, 그나저나 저도 동지 만나 반갑네요. 전 제가 이상한갑다 했더라니까요.
다들 좋다고 하길래 전혀 의심하지 않고 보게 된 책이었거든요. 도무지 건질게 없는 말에 왜 그렇게들 광분을 하는지 이해가 가질 않았어요. 어쨌거나 안심입니다. 크게 실망한게 저만이 아니라는걸 알게 되셔요.^^ 좋은 하루 되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