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인 미야베 월드 2막
미야베 미유키 지음, 이규원 옮김 / 북스피어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귀신을 알아보는 신비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 오하쓰가 다시 한번 우쿄노스케와 만나 사건을 해결한다는 내용이다. 때는 바야흐로 일본 에도시대, 결혼을 앞두고 있는 아름다운 처자가 새벽 무렵 사라지고 만다. 그녀를 마지막으로 목격한 아버지는 그녀가 새빨간 아침 노을과 함께 찾아온 광풍에 휩쓸려 사라졌다는 말을 되풀이 하지만 아무도 그의 말을 믿지 않는다. 결국 취조끝에 아버지는 자신이 딸을 죽였다는 자백과 함께 자살하고 만다. 그 사건은 거기서 종결되어야 옳았겠지만, 그를 취조한 형사는 그가 억울한 누명을 썼을 수도 있다면서 오하쓰를 찾아온다. 그의 생각엔 그 아버지가 진실을 말한 것 같다면서 , 만약 그 아가씨가 "가미카쿠시"--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요괴나 요물에 의해 다른 세계로 옮겨 지는 것--에 의해 실종된 것이라면 오하쓰가 아니면 이 사건을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그 이후로도 마을에 처자 둘이 같은 방식으로 사라지고, 오하쓰는 이것이 요괴와 관련이 있는 사건이라는 것을 직감한다. 이제 이를 어떻게 풀어 가는가가 관건인데, 난감해 하는 그녀 앞에 데쓰라고 하는 귀여운 고양이가 나타난다. 난데없이 고양이 말을 알아듣게 된 오하쓰는 데쓰와 어리버리해 보이지만 속 깊은 우쿄노스케와 함께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데...


미미 여사는 도무지 어떻게 이런 글들을 공장에서 물건 찍어 내듯 써 내려가는 것인지 놀랍기만 하다. 오하쓰만큼이나 대단한 능력이라 아니 말할 수 없겠다. 하여간 사람들이 흥미를 가지지 않을 수 없게 만드는 묘한 매력을 지닌 에도 시대의 능력자 처녀 오하쓰가 다시 등장했다. 사실 나는 오하쓰보단 <얼간이>의 주인공인 헤이치로와 그의 조카를 더 좋아한다. 하지만 뭐, 꿩 대신 닭이라고, 헤이치로가 없을땐 오하쓰도 그럭 저럭 괜찮다. 그런  마음으로 이 책을 집어 들었는데, 역시나 오하쓰의 이름값을 해주는 책이라서 반가웠다. 인간의 이성으로는 설명이 불가한 요괴를 전면으로 내세우긴 하지만, 역시나 미미 여사의 필력 때문인가? 그것이 억지나 유치하다기 보단 재밌는 이야기로 읽혀지는걸 보니, 하여간 모든건 재능으로 귀결되는게 아닐까 싶다. 어떤 소재라도 그걸 어떻게 다루는가에 따라서 느낌이 이렇게 달라지니 말이다. 이야기 텔러 로써의 천부적인 자질을 지닌듯한 미미 여사가 다작까지 해주신다니 독자인 나로썬 다행이랄 수밖엔 없다. 이렇게 재밌는 책이 자주자주 나와 줘야 우리 같은 독자들이 삶의 재미를 잃지 않고 살테니 말이다.


하여간 흥미진진하니 재밌게 읽었다. 미미 여사의 책은 내용 보단 이야기의 자연스러운 흐름이 더 인상적인데, 이 책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티격태격하면서 사람들이 나누는 대화나 의뭉스런 행동들에서 유추해 낼 수 있는 유머가 추리를 풀어가는 것만큼이나 재밌었으니 말이다. 아마도 그런 트릭들은 다른 추리 소설 작가분들이 배워두면 좋을 듯 싶다. 말했듯이, 아무리 추리 소설이라고 해도 사람 사는 이야기니, 그것들을 얼마나 자연스럽게 이야기 속에 녹여 내는가가 좋은 추리 소설이냐 아니냐를 판가름할수 있지 않겠는가.


오하쓰와 어리버리 우쿄노스케의 앙상블도 좋지만, 이 책에서 단연 으뜸의 공신을 꼽자면 아기 고양이 데쓰다. 매우 건방지고 귀여운 캐릭터를 100% 살려낸 케이스로, 오하쓰나 우쿄노스케에겐 없는 유머까지 담당하는 바람에 읽는 재미를 더하고 있었다. 일본 사람들은 고양이를 무척 좋아하는가 보던데, 이런 장치들이 책을 귀엽게까지 한다는 점에서 권장할만하다 하겠다. 데쓰의 등장이 이 한편에 그친다는 것이 아쉽긴 했지만, 다음번엔 또 무슨 이야기로 나를 재밌게 할지 기대된다. 아마도 다음 편엔 오하쓰와 우쿄노스케의 로맨스가 조금은 진전이 있겠지 싶은데, 설마 벌써 결혼까지 시키시는건 아닐테지만서도 말이다. 하여간, 미미 여사님, 부지런히 책 써주시길 바래요. 제가 부지런히 읽어 드릴테니 말여요!!! 이런 재밌는 책이라면 저 무한대까지라고 읽을겁니다요, 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