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의 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 소설을 잘 안 읽는데, 아니 읽기는 해도 리뷰를 안 쓰던거던가? 하여간 이 책은 한국 추리 소설 치고는 걸작이라는 다른 리뷰어의 말에 반색을 하고 보게 된 책이다. 그의 말에 의하면 우리나라 작가들 중에서도 이렇게 추리 소설을 잘 쓰는 사람이 나왔다는 사실에 자부심을 느끼고, 이제 우리나라도 추리 소설의 변방이 아니다...등등의 호평을 해온 것이었다. 엉? 그랬어? 나는 모르고 있었는데...라면서 부랴부랴 찾아서 읽게 된 책, 아~~~~~ 나도 그처럼 입에 거품을 물수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겠는가 만은, 중반쯤 가다가 그럼 그렇지...라고 하는 나를 발견하면서 김이 빠지고 말았다. 그렇다. 내겐 별로였다. 한권의 추리 소설로 만들어 냈다는 것이 비록 대단하긴 했지만, 이런 긴장감으로 끝까지 글을 써낸다는 것이 쉽지많은 않았을 것이니 말이다. 하지만 난 도저히 이 책에 걸작이라는 수식어를 붙일 수 없었다. 자부심은 어림도 없고 말이다. 하여간 내가 그렇게 느끼게 된 점들을 대충 적어 보기로 한다면...


대충의 내용은 이렇다. 7년전 아내와 마을 사람들을 몽땅 몰살시키 죄로 감옥에 갖혀 있는 아버지를 둔 서원은 그간 살인자의 아들이라는 사람들의 시선을 피해 숨어 살고 있었다. 어린 그를 사람들의 시선을 피해 살 수 있도록 해준 것은 바로 다름아닌 그 사건당시 한 집에 살고 있던 승환이란 소설가. 승환을 죽지 않았으나 죽은 것이나 마찬가지인 아버지 대신으로 하며 살고 있던 서원은 뜻하지 않은 사건으로 인해 다시 세간의 주목을 받게 된다. 그가 사회의 표면으로 나서자마자 그에게 날라온 소포, 그가 가는 곳이면 어디나 그의 정체를 일러주면서 그가 그곳에서 도무지 정착할 수 없게 만들던 것이었다. 바로 서원이 살인자의 아들이며, 살인자의 자식이니 그 역시 믿으면 안 된다는 취지의 글이었다. 이에 서원은 누가 자신을 그렇게 끝까지 추적을 하며, 아버지가 자신의 죄를 받은 마당에 왜 자신까지 끌고 들어가는지, 그리고 그가 죽으면 죽었지 잊고 싶었던 그 의문을 떠올리게 한다. 진짜 아버지는 살인자였을까? 평소에 어머니에게 까일 정도로 소심한 사람이었던 그가 그날 그렇게 광분해서 사람을 죽여댄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 그가 사람들을 죽여댄 것에는 자신이 모르는 어떤 이유가 있는게 아닐까... 궁금해 하던 중에 승환이 갑자기 사라져 버린다. 그리고 그의 이름으로 온 소포엔 7년전 밤의 일들이 적혀 있었다. 이젠 더 밀릴 곳이 없는 서원은 살기 위해 과거를 되짚어 나가게 되는데, 과연 7년전 그 밤엔 어떤 일이 벌어지게 된 것일까?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었기에, 평범한 가정이던 그의 가족이 그렇게 풍비박산이 나버린 것일까? 그는 승환이 보내온 글을 읽으면서 과거를 짜맞춰 가게 되는데...


추리 소설로써 줄거리 자체는 괜찮았다. 다만 그것을 풀어내는 작법이 그다지 맘에 들지 않았다고나 할까. 이야기의 아귀가 맞아야 한다는 강박때문인지 설명이 너무 많고, 그 설명이 또 진부하기 짝이 없는 투라서 긴장감이 없다는 점도 읽는데 지루함을 주고 있었다. 내용이 신선해야만 좋은 책이 되는 건 아니다. 문장 역시 눈에 번쩍 트일 정도로 신선해야 한다. 그래야 다른 문장을 기대하게 되고, 읽는 재미가 있는 법이다. 그런데 이 책엔 진부하고 지루한 나열이 있을 뿐, 독특하고 재치있는 그런 문장을 보기가 힘들었다. 그렇다 보니 인내력이 바닥나는 중반 정도가 되면 이걸 읽어야 하는지 갈등하게 되더라. 전체 길이에서 한 1/3 정도를 들어냈다면 아마도 더 좋은 소설이 되었을 것이다. 추리 소설에서 지루함이란 치명적인 독이니 말이다. 너무 완벽하게 쓰려다 보니 이것 저것 빼놓을 수 없었던 것이 아닐까 싶었는데, 만약 좋은 편집자가 있었더라면 길이를 줄이는게 좋지 않겠냐고 조언을 해주지 않았으려나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그러니까 중반부터 이어진 지루함이 결국 결말이 어떻게 되는지도 궁금하지 않게 하더라. 인물들은 지나치게 극악적이고, 천편 일률 적이며, 완벽한 피해자이거나, 완벽한 가해자이거나, 중간에 끼인 서원의 아버지는 그야말로 이도 저도 아닌 인물...등장하는 인물들에 매력이 없다는 점 역시 추리 소설로써는 매력 반감이다. 무엇보다 추리 소설로 성공하고 싶다면 매력적인 등장인물 하나 정도 선정을 해놓고 시작하는게 필요할 것이다. 우리가 추리 소설을 읽는 것은 인간이 얼마나 추악하고 비루하며 비겁하고 별 볼일 없는 존재들의 집합체인가를 알고 싶어서가 아니라 , 그런 사람들이 있음에도 그래도 뭔가 긍정할만한게 있다는거, 그런 사람들을 때려 잡는 좋은 사람들이 있다는 거, 그런 사람들이 때론 치명적일 정도로 매력적이라는데 있는 것이니 말이다. 하여간 아직도 우리나라 추리 소설이 갈 길이 멀구나 라는걸 느끼게 했던 책이었다. 다음번엔 보다 멋진 책으로 우리를 깜짝 놀라게 해주길 작가들에게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