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야구 감독
에비사와 야스히사 지음, 김석중 옮김 / 서커스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야구를 몰라도 읽어도 된다고 해서 본 책이다. 그런데 읽어보니 야구를 몰라도 될 뿐더러, 야구에 관심이 아예 없는 분들이 읽기에도 무난하게 쓰여졌더라. 마치 눈 앞에서 경기를 보는 듯한 생동감을 가지고 그려냈다고나 할까. 야구에 문외한이신 분들이라면 아마도 자기 눈 앞에서 본 것보다 더 자세하고 이해가 더 빠르게 올지도 모른다. 작가가 자신의 지식을 바탕으로 한바탕 신나게 설명해주고 있으니 말이다. 같이 봐도 나는 모르는 것들이 그에겐 새로운 전조요, 기회요, 아찔한 위기요, 도전이며, 극복이니 말이다. 그의 설명을 듣기 전엔 그저 한낱 공놀이에 불과했던 야구가 갑자기 대단히 흥미진진한 인생 살이로 보이더라는 것이다. 이거 대단한 설득력 아닌가? 워낙 아무렇지도 않게 해서 그렇지 쉬운게 아니란걸 알기에 작가의 필력에 새삼 혀를 내둘렀다. 하긴 누가 이런 책을 내리라고 생각이나 했겠는가? 야구를 소재로 소설을 만들다니...만화라면 또 모르지만서도, 만화 못지 않은 설명력으로 소설을 써 내다니...존경스러워 해야 한다는 것은 맞지 싶다.
이야기는 만년 꼴찌 팀인 일본 프로 야구팀 엔젤스를 무대로 그려진다.만년 꼴찌를 하면서도, 별로 반성이 없는 팀인 엔젤스가 한번쯤은 이겨줬으면 하고 바라던 구단주는 감독을 새로 영입하기로 한다. 그가 고려한 사람은 코치로 있던 히로오카, 그는 한때 잘 나가던 자이니츠의 타자였으나 감독과의 불화로 팀에서 쫓겨난 뒤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고 있던 중이었다. 어떤 감독이 와도 이 팀은 안 된다고 고사하던 히로오카는 마지못해 팀을 받아 들인다. 다만, 자신이 하는 일에 무조건 지지를 보내 줘야 한다는 단서를 달고... 구단주의 전폭적인 지지를 등에 업었다고는 하나 감독을 하는 일은 쉽지가 않다. 무엇보다 지는 일에 내성이 생겨 버린 야구 선수들은 감독의 성화가 귀찮기만 하다. 프로야구 선수는 동네 야구가 아니라고, 그들의 임무는 게임을 하는게 아니라 이겨야 하는 것이라는걸 다시 머리에 각인시켜줘야 하는 것부터 시작한 감독은 점차 팀을 일신시켜 나가기 시작한다. 하지만 복병은 언제나 존재한다. 차기 감독이 될 줄 알았던 다나야기는 사사건건 태클을 걸고, 선수들마저 그를 믿지 못한다. 야구 선수들을 애완견마냥 귀여워 하면서 응석을 받아주던 구단주 역시 빡빡하게 나가는 히로오카가 잘 하고 있는건지 어리둥절해 한다. 모든 것을 새롭게 짜야 한다는 각오아래 팀을 일신해 나가던 그는 새로운 투수도 구하고 전력을 보강하는 등 새 시즌에 완벽하게 대비해 간다. 과연 그들은 만년 꼴찌팀에서 탈피할 수 있을 것인가? 그들의 새로운 모습에 다들 기적을 바라본 듯 눈을 비비는데...
만화나 영화를 보는 듯 생동감이 넘쳤던 소설이다. 야구계가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해 보여준다는 점이 장점. 그냥 배트만 휘두르고, 공만 던져대는 것 같던 야구세계가 실은 전략과 두려움과 투지와 심리게임등 인간 사회의 모습이 축소해서 들어가 있는 것이라는걸 깨닫게 해준 책이다. 야구가 이렇게 흥미진진했던가 싶도록 만들었고, 조금만 더 많이 안다면 야구를 좀 더 즐길 수 있겠구나 싶더라. 더불어 왜 남자들이 그렇게 야구에 목을 매는지도 이해가 됐다. 일단 재미가 있어서 겠지만, 도전하고 실패하며 성공하는 모습들, 특히나 팀 플레이를 한다는 점에서 그들이 그렇게 환호하는게 아닐런지... 한바탕의 각본없는 드라마들이니 말이다. 감독과 구단주, 그리고 야구 선수들 모두가 모여서 만든 즉흥적인 드라마 말이다. 야구 선수들이 왜 은퇴를 하기 싫어하는지 이해도 된다. 왜 안 그렇겠는가? 아드레날릴 듬쁙 듬쁙 솟아 주는 야구장에 선다는 자체가 대단한 감동일텐데...오늘도 드라마를 새로 쓰고 있을 모든 야구 선수들 모두에게 박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