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로파일러
팻 브라운 지음, 하현길 옮김, 표창원 감수 / 시공사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제목이 프로파일러지만 프로파일러에 대한 믿음을 이렇게 훼손하는 책은 또 못 본 듯하다. 한마디로 프로 파일러는 믿지 못하겠다거나, 믿어도 되는건가? 라는 의구심을 갖게 만드니 말이다.
생활비에 허덕대던 주부였던 이 책의 저자 팻 브라운은 돈을 좀 벌어벌 요량으로 집에 하숙생을 들인다. 그에게 꺼림칙한 느낌을 받던 어느날, 마을에서 한 여자가 강간당한 후 살해된 채 발견된다. 범인을 잡기 위해 경찰들이 백방으로 노력하겠지 라는 생각을 하던 저자는 자신의 집 하숙생이 수상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간신히 떨리는 마음으로 증거를 수집해 경찰서에 갖다준 저자는 경찰로부터 아줌마는 그냥 집에서 계셩, 그렇게 심심해?라는 말을 듣고는 경악한다. 자신을 무시하는 경찰들은 밉지만, 다른 피해자가 생기면 어떠나 싶고, 죽은 여자도 가엾고 한 저자는 믿음을 가지고 자신만의 수사를 시작한다. 자비를 들여 수사를 하던 그녀는 하숙생의 가족들이 오히려 그가 살인자라고 해도 이상할게 없다는 식으로 나오자 점점 그가 진범이라고 단정하게 되는데...
그렇게 집에 살인범 하숙생을 들인 이유로 프로 파일러가 되어버린 작가 자신의 이야기다. 자신에게 범죄자를 알아보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알고는 아예 그 길로 나선 여자의 이야기인데, 문제는 그렇게 프로 파일러가 되어서 문제를 해결한 것이 없다는 점이다. 하숙집 아줌마 였을때나 박사 학위를 받고 전문 프로파일러가 됐을때나, 그녀가 범인의 윤곽을 잡아서 경찰서에 갖다주면 대충 다 무시해 버리기 일쑤니 말이다. 한마디로 프로파일링을 왜 하는지 도무지 이해가 안 되는 상황이었다. 결국 범인을 못잡는데 말이다. 하여, 프로파일러는 도무지 왜 존재하는 것인가? 범인을 잡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저 심심풀이로, 미드의 소재가 되기 위해 존재하는 게 아닐까 ,내진 미드에 나오는 프로파일러의 모습은 다 과장이었구나 를 알게 해준 책이 되겠다. 무엇보다 심각하게 지루하다. 재미라도 있었다면 그래도 용서를 해주겠구만서도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