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스펜스 하우스 - 책 마을에서 길을 잃다
폴 콜린스 지음, 홍한별 옮김 / 양철북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네모난 못> <밴버드의 어리석음> <토머스 페인 유골 분실 사건>의 저자인 폴 콜린스의 신작(?)이다. 그가 <밴버드의 어리석음>이라는 책으로 막 작가로 데뷔하려고 애를 쓰던 시절, 그의 아들인 모건이 아직 자페아라는 것을 모르던 시절의 일상들이 현란하고 재치있는 필체로 유감없이 옮겨지고 있었다. 샌프란시스코의 살인적인 물가에 염증을 느낀 폴 콜린스 부부는 영국으로 건너가 살면 행복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너무도 간절히 이사를 원한 결과, 살 집도 구하지 않은 채 영국으로 떠난 그들은 책의 마을이라는 헤이온와이에 둥지를 틀기로 결심을 한다. 문제는 작고 소박하며 잊혀진 마을이라는 헤이온와이가 책은 많지만 그들이 살만한 집은 생각만큼 많지 않았다는 것, 하여 쉽게 집을 구할 줄 알았던 둘은 이런 저런 이유로 집을 구하지 못하자 애가 탄다. 그런 와중에도 책 벌레인 폴은 마을을 전전하면서 헤이온와이의 특성에 대해 하나 둘씩 알아간다. 괴짜라는 말로는 심하게 부족한, 그보단 정신과 분석을 의뢰하는게 맞지 싶은 괴팍한 개성의 소유자 리처드 부스를 만난 폴은 단숨에 그의 서점 직원이 된다. 그리고 부스와 다른 마을 사람간에 존재하는 알력에 대해서도 알게 된다. 영국 사람이면 신청할 수 있다는 말에 상원 의원 신청 서류도 작성해보고, 영국에서 집을 구한다는 프로젝트의 복잡하고 난해한 과정에서 길을 잃어보기도 한다. 자신의 책이 막 나오려는 순간, 책의 무덤이라는 헤이온와이에서 이리저리 방황하던 그는 오래된 책들을 들춰 보면서 인생에 대해 새삼 생각해 보게 되는데...
일단 재밌다. 상큼한 재치가 톡톡 튄다. 사람들에 대한 정감어린 통찰력은 그가 어떤 것에 대한 묘사를 하건 눈살을 찌프리게 하지 않는다. 그건 이미 익히 다른 책에서 지켜 봤듯, 그가 매력적인 인간미를 갖춘 사람이라는 뜻일 게다. 누군가 자신의 일상을 시시콜콜 늘어놓으면 곧바로 지루하기 마련이건만, 이 작가는 정말로 흥미롭다. 누군가의 일상을 지켜보는 것이 이토록 따스하고 정감넘칠 줄이야. 감탄하면서 읽었다. 하여간 재밌다. 책을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특히나 잊혀진 책에 대해 그가 읊조리는 것들에 많은 부분 공감하시리라 본다. 폴 콜린스에 대한 믿음을 200% 회복시켜준 책, 아~~ 나는 아직도 폴의 책이 고프다.
우리는 문학이 죽었다는 말을 심심치 않게 듣는다. 주로 존경받는 작가가 갑자기 그 사실을 깨닫고 문학이 죽었다고 소리를 높이는데, 사실 그 말은 작가 자신이 소멸될 때가 되었다는 사실을 수사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자기가 지난 10년 동안에 예술적 한계에 다다랐고 앞으로 20년이면 육체적으로도 한계에 다다르리라는 이야기다. --11
헤리퍼드에는 화장터로 가는 길을 가리키는 길 안내 표지판이 성가실 정도로 많다. 헤리퍼드에서 길을 잃는다면, 어디로 가야 길을 찾을 지는 모르더라도, 언젠가 어디를 향해 가게 될지는 알게 되리라.--222
사랑하는 남편에게.
남편의 도움이 없었더라면
이 책은 벌써 여섯 달 전에 완정할 수 있었을 겁니다.
내 책과 관련된 무수한 사람들만 없었더라면 나도 여섯 달 전에 제목을 정할 수 있었을텐데.--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