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허에 바라다 - 제142회 나오키상 수상작
사사키 조 지음, 이기웅 옮김 / 북홀릭(bookholic)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어딘지 음산해 보이는 표지에 끌려 읽게 된 책인데, 한마디로 제목값도 하지 못하는 그런 책이 아니었나 한다. 일본의 나오키상을 수상한 책이라고 하는데, 나오키상이 무슨 상인지는 모르겠으나 상을 받을만한 책은 아니었다는 느낌이다. 상이 부실한 것인지 ,아니면 올해만 수상작이 부실했던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도무지 왜 이 책이 상을 받았는지 이해가 되질 않더라. 추리 소설이라고는 하나 긴박감 하나없는 엉성한 추리에, 설득력도 별로 없고, 사건 자체도 인상적이지 않으며, 전개 역시 그다지 재미가 없었으니, 뭐, 그저 흔해빠진 그렇고 그런 소설이라고 밖엔 보이지 않던데, 도무지 왜 이 책이 상을 받은 것일까? 의아해진다. 그렇다고 심리적인 면에서 탁월했다거나, 인간을 잘 통찰했다거나 그런 면도 없는데 말이다. 아마도 나오키상이라는 것이 그다지 신빙성있는 상은 아닌 모양이다. 뭐, 하긴 상을 받았다고 해서 좋은 책이라는 보장은 없는 것이니 내가 굳이 거품을 물 필요는 없어 보이지만서도.... 

줄거리는 형사라는 본분을 잊어 버리고 미적거리는 바람에 납치 피해자가 살해되어 버리는 끔찍한 사건을 경험한 센도 다카시는 현재 휴직상태다. 과거의 사건이 트라우마가 되어서 그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이다. 형사 노릇을 하고 싶어도 강제로 휴직을 당하고 있는 상태인 그에게 이런 저런 연줄로 사건이 의뢰되어 온다. 휴직상태라 수사권도 관할권도 없는 그는 하지만 현직 형사들이 미처 보지 못하는 헛점들을 알아내면서 사건들의 본질을 파악하도록 돕게 되는데... 

한마디로 추리소설치고는 심심하다. 사건을 추리해서 풀어가는 과정도 허술하기 그지 없고, 그는 마뜩잖아 하던 관할 형사들이 어딘지 엉성해 보이는 그의 추리를 선뜻 받아들인다는 전개도 우습기만 했다. 그렇게 열린 자세를 가진 형사들이 처음에는 그를 그렇게도 거부했다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 것이다. 더군다나 별로 치밀해 보이지 않던 그가 추리해내는 것을 현직 경찰들은 발견해내지 못한다는 설정도 어딘지 미심쩍었다. 하여간 형사 콜롬보 같은 형사물을 만들고 싶어한 듯한데--트라우마에 시달리는, 고독한 형사의 이미지를 덧붙여서--전혀 콜롬보 같지 않았다는 것만은 알려 드리고 싶다. 실은 그 근처에도 못 갔다. 드라마에서 나오는 형사보다 못한 소설속 형사는 별로 매력적이지 못하단 것이지. 하여간 무언가 있어 보이는 제목에 비하면 별게 없었던 소설로 기억에 남을 것 같다. ....만일 기억이 난다면 말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