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 있는 시체의 죽음
야마구치 마사야 지음, 김선영 옮김 / 시공사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일본 작가가 쓴 것이지만 무대는 미국 북동부 툼스빌이라는 마을이고 등장인물 역시 대부분 미국인인 특이한 소설이다. 마을 이름에 걸맞게 (무덤 마을이라는 뜻) 대대로 장의업을 해서 살아온 발리콘 성에 일족들이 모여든다. 이유는 일가를 세운 스마일리 할아버지의 죽음이 임박했기 때문이다. 유산이 어떻게 분배되어질 것인가가 궁금한 가족들은 할아버지의 죽음만을 기다리며 성 안으로 모여든다. 미국 전역에 시체들이 되살아난다는 기괴한 사건들이 연일 뉴스를 장식하지만, 오보일거라 생각했던 스마일리의 손자 그린은 초코렛을 먹고 자신이 죽자 당황한다. 죽은 것보다 더 당황스러운 것은 자신이 되살아났다는 것, 하여 장의사 기술을 활용 자신을 살아있는 사람으로 변장시킨 그린은 누가 자신을 죽였는지 밝혀 내기로 한다. 사상 최초로 좀비 탐정이 탄생 한 것! 그러나 아무리 죽었다고 한들,탐정 노릇을 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기만 한데...

 

탁월하다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색다른 책이었다. 도무지 이런 상상력이 어디서 나오는지 궁금했을 정도로 말이다. 으스스한 첫 문장부터 사람의 혼을 쏙 배놓더니만, 작가가 일본 사람이 맞는지 몇 번을 확인해봤을만큼 자연스럽기만 한 미국 문화에 대한 서술 역시 기가 죽었다. 요즘 워낙 좀비들이 설치는 판이라 죽은 사람이 살아난다는 상상력이 대단하지 않게 느껴지실지 모르겠는데, 살아난 좀비들이 생존시와 별 다르지 않는다는 발상은 그 자체로 흥미로웠다. 우린 대개 죽은 자에게 살아 있을때는 없던 파워가 있을 거라 생각하면서 무서워 하지 않는가. 그러나 저자는 달랐다. 그저 죽었다는 것일뿐, 인간 자체가 달라지지는 않을거다라는 발상의 전환이나 통찰력이 돋보인다. 사람의 상식을 뒤업는 화려한 상상력에 단지 상상력에 그치는 것이 아닌 꼼꼼한 조사--저자는 죽음에 대해 그야말로 물샐틈없는 조사를 한 듯 했다. 하여 소설을 보면서 죽음에 대해 전면적인 고찰을 할 수 있었던 것이 이 책의 특징이기도 하다--ㅡ를 통한 성실한 글쓰기가 이 책의 가치를 높이고 있었다.

 

다만, 아쉬운 점이라면 마무리가 다소 허무하다는 것? 첫 장부터 하도 박진감 있게 끌고 나가고, 뭔가 있을 듯한 분위기를 팍팍 풍기고 있어서 대단한 결말이 펼쳐질 줄 알았는데, 관계한 모든 인물들이 살아있는 시체들이었다는 결말에 풀이 죽고 말았다. 물론 마무리까지 완벽하다면야 좋았겠지만서도, 그건 독자의 욕심일지도 모른다. 이렇게 탁월한 상상력을 볼 수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풍성한 눈요깃 감이었으니 말이다. 그저 일개 독자인 나로써는 흔치 않는 작가의 재능 발견에 감지덕지할 밖에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