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엄마는 못 말리는 마법사 꼬맹이 마음 29
배빗 콜 글.그림, 김수희 옮김 / 어린이작가정신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마녀가 아니고 왜 마법사인지 궁금하다. 엄마니까 마녀라고 해도 됐을텐데 말이다. 엄마가 마법사인 아들이 있다면 어떨까라는 상상으로 시작한 동화책이다. 아들은 괴팍하고 다른 학부형들과는 다른 엄마가 저으기 부담스럽다. 교사건 학부형이건 간에 그녀를 마득찮아 하는 것은 마찬가지. 더군다나 아빠를 술을 끊게 하기 위해 단지안에 감금했다는 설정은 기괴를 넘어 경악스럽기 까지 하다. 그런 마녀를 경계하는 것은 보통 사람들이 할만한 행동, 마녀가 실제로는 유쾌할 수도 있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들은 그녀와 그녀의 아들을 왕따시킨다. 하지만 학교에 불이나고, 이에 마녀가 검은 구름을 끌고와 불을 끄게 되자 사람들은 그들을 다시 보게 됐는데... 

우리의 기준과 다른 사람들이란 이유로 색안경을 끼고 보면 안 된다는 교훈을 주던 동화책. 하지만 실제로 엄마 마법사의 행동은 눈살을 찌프리게 하기에 충분했다. 더군다나 아빠를 단지 안에 가두다니...아이들 동화책--이 책은 4세에서 7세 용이다.--에 그런 끔찍한 이야기를 굳이 넣었어야 했는지 이해가 되지 않았다. 조카에게 읽어주려 하는데 도무지 말이 떨어지지 않더라. 

왜 아이들에게 미리 현실을 알려 줘야 하는 것일까? 세상에 알콜 중독자인 아버지들이 많다고 하나, 꼭 그걸 유아들에게 알려줘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일까? 아무리 이해하려 해도 이해가 되지 않는 상상력이지 않는가 한다. 결국 궁시렁대면서 책을 덮었고, 조카에겐 안 읽어줄 작정이다. 정말로 한탄하건데. 왜 좋은 동화책은 없냐고요. 도무지 술에 젖어 말썽만 피는 아빠를 단지안에 가둔다는 설정이 웃낄거라 생각하는건 어떤 발상인건지...더군다나 유아들의 입장에서 말이다. 작가의 감성이 의심스러울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