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그림으로 생각한다 - 자폐인의 내면 세계에 관한 모든 것
템플 그랜딘 지음, 홍한별 옮김 / 양철북 / 2005년 9월
평점 :
자폐인을 다룬 책을 읽다보면 한번씩은 언급되는 저자가 바로 이 템플 그랜딘이다. 그녀의 대표작이라는 말에 한번쯤은 읽어야 겠다고 생각하다 , 요즘 하도 읽을 것이 없어 집어든 책. 뭐, 이미 다른 자페인에 대한 책을 많이 읽어놔서 그런가 별로 새롭다할만한 정보는 많지 않았다. 아마도 자폐인에 대해 관심이 생겼을 처음에 읽었다면 오히려 더 좋았을거란 생각이 든다. 그만큼 종합적이고 맥락을 짚어주는 이야기를 많이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동물을 관찰하는게 아니라 동물처럼 생각하고 느낄 수 있다는 그랜딘은 동물학자로 명성이 높은 자페관련 세계적 권위자다. 자신이 천재 자폐인이기 때문에 대화나 소통이 안되는 다른 자폐인들이 왜 그렇게 행동하고 그들은 어떤 내면 세계를 갖고 있는지 대신 의사전달을 하고 있었다. 그들이 컴푸터처럼 논리적이고 연산적인 방식으로 생각한다는 것, 그들도 사랑받길 원하는 존재라는 것, 단지 접근 방식이 다른 인간들과는 달라야 한다는 것--왜냐면 그들은 갑자기 자신을 껴안거나 뽀뽀하는 것을 무서워 한다고 한다.--그들이 왜 다른 인간들과 소통하는 것이 어렵고 이해를 못하는지에 대한 개략적인 이야기를 알기 쉽게 서술하고 있었다. 자폐인에게도 내면이란게 있고 , 그들도 생각한다는걸 알려준 것이 자폐인들로써는 대단한 발전이었다고 한다. 그 외에 자폐인들만의 고통에 대해 토로하고 있었는데, 소리에 민감하다는 것, 감각 장애가 있기 때문에 그렇게 소리 질르고 불편해 하는 것이라는 것을 이 책을 보면서 알게 됐다. 자폐인에 대해 개략적인 것을 알고 싶으신 분들에겐 좋은 정보가 많지만 뒤로 갈 수록 지루해진다는 것이 별로였다. 어쨋꺼나 그녀같은 자폐인들을 기반으로 해서 더 나은 연구를 하게 되어 자폐인들과 그들의 가족들을 도울 수 있게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상상해본다. 다행인것은 60-70년대에 비해 지금은 월등하게 자폐에 대한 이해가 많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이다. 앞으로 더 나은 연구가 이뤄지길 바라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