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을 처방해드립니다
카를로 프라베티 지음, 김민숙 옮김, 박혜림 그림 / 문학동네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빈집털이범 루크레지오는 어느날 이상한 집을 털기로 마음을 먹는다. 동료가 나타나지 않자 혼자 털이에 나선 그는 대머리 깜찍한 소녀인지 소년지 알길 없는 칼비노에게 들키자 깜짝 놀란다. 경찰에 이르지 않을테니 잠시 아빠 노릇을 해달라는 말에 어쩔 수없이 저택에 갇히게 된 루크레지오는 점점 그 집에 이상한 기운이 흐른다는 것을 감지한다. 옷장을 열어보니 시체가 들어있질 않나, 냉장고를 열어보니 역시 냉동된 시체가 떡하니 있질 않나... 혼비백산한 루크레지오가 도망갈 궁리를 하는 사이 칼비오와 함께 정신병동에 간 그는 그곳에서 치료약으로 책을 처방받는 다는 사실에 흥미를 느낀다. 자신이 좋아하는 책의 주인공으로 살길 원하는 사람들이 모여있는 그 정신병동에 머물면서 그 자신도 꿈의 테라피 치료를 받게 된다.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도무지 알길 없는 사건들 속에서 그는 과연 어떻게 그곳에서 살아나가게 될 것인가? 그리고 도대체 칼비노인지 칼비나인지의 정체는 무엇일까? 그의 엄마와 아빠는 도대체 어디에 있는 것일까?
동화책으로 분류해야 적당한책이 아닐까 한다. 쉽게 말하면 동화판 아담스 패밀리라고나 할까? 도무지 영문을 알길 없는 저택속 사람들의 정체와 루크레지오와의 관계가 점차 들어나면서 그 모든 것이 실은 계획된 것이라는 것이 드러나는데...기발하고 상상력이 풍부하며 뭐, 어쩌고 저쩌고 하던데, 난 별로 감흥을 못 받았다. 아마도 나완 코드가 안 맞는 책이었던 모양. 무엇보다 드러난 루크레지오와 저택 가족들의 관계가 어설퍼 보였으며, 그 모든 사건들의 아귀가 딱딱 맞는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다.--뭐, 동화다운 설정이라고 보면 별로 이상할 것도 없지만...--그리고 한결 같이 유지하던 둘 다 일 수 있다는 설정은 끝에 이르니 식상하게 들려 오더라? 여자야 남자야, 아빠야 엄마야? 정신병원이야 도서관이야? 난쟁이야 거인이야? 등 둘다 일수도 있고 ,내진 상관없다는 투의 작가의 태도는 결국은 아님 말고...라는 심드렁한 마음을 불러 일으키더라. 재수없다는 말이 목구멍까지 흘러나왔다. 말 장난 하는 것도 아니고 말이지. 그게 작가는 그리고 많은 독자들은 재밌다고 생각하는 것 같던데, 난 하나도 재미 없었다. 그저그런 상상력에 독창적인지도 잘 모르겠고, 그다지 재밌지도 않았다. 정신나간 사람들에게 책을 처방해준다는 문구가 대단히 감동을 주는가보던데, 그런가? 이 삭막한 세상에 책을 처방해준다면 세상은 그리고 인간은 보다 살기 쉬울려는가? 어쨌거나 책이 이 팍팍한 세상을 살아나가는게 도움이 된다는 환상에 기대어 한방 날린 책이란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