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알약 - 증보판 세미콜론 그래픽노블
프레데릭 페테르스 글.그림, 유영 옮김 / 세미콜론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런 책을 읽다보면 정말 인연이란게 있긴 한가보다 싶다. 십대의 끝 무렵, 열아홉의 저자는 두살 연상의 카티를 스쳐가듯 만나게 된다. 나중에 둘의 인연이 어떻게 될 거라곤 상상도 못한 채 ... 나중에 우연히 카티와 해후를 하게된 프레데릭은 그녀가 에이즈에 걸렸으며 그녀의 아들 역시 에이즈 양성 보균자라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놀람과 회피와 동정과 연민 사이에서 순간적으로 갈등하던 그는 우선 호기있게 그녀를 잡고 본다. 그렇게 에이즈에 대한 두려움을 수면 아래에 감춘 채 사랑을 시작한 두 사람, 주변의 걱정에도 불구하고 그 둘의 사랑은 깊어져만 간다. 조심스럽게 사랑을 키워 나가던 두 사람은 연인으로써 에이즈와 함께 살아나간 다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는 것을 새록새록 알게 된다. 하지만 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함께 가족이란 이름으로 용기있게 한발 한발 앞으로 나가던 모습들이 잔잔하게 그려진 만화다. 저자 자신의 이야기를 흑백 거친 화면속에 솔직하게 담아낸 것이 특징. 처음엔 그림이 --아니 솔직하게 말하면 끝까지---거칠게 느껴지지만, 읽어내려 갈 수록 메시지를 전달하기엔 딱 적당한 톤이라는 생각이 든다. 고르고 골라 진심만을 담은, 어떻게 표현을 해야 독자들이 저자의 의도를 오해없이 받아들일지 고민 많이 해서 만든 작품이란 느낌을 받았다. 에이즈 환자로써의 고충이나 세상의 편견을 고발하기보단, 그들도 다른 사람들과 똑같은 인간이라는 메시지를 자연스럽게 전달한 점이 특히나 좋다. 병에 대한 선입견을 물리치는데는 오히려 그게 낫다고 보기 때문이다. 카티의 아들에 대한 사랑과 죄책감, 두 모자를 받아들이면서 거대한 그림을 그리기보단 괜찮을거란 직감으로 나아가던 저자의 진솔한 모습, 성마르고 다혈질이나 그 어떤 의사보다 환자의 마음을 잘 읽어 내던 주치의, 견딜수 없는 절망이 엄습을 해도 서로를 다독이면서 나아가던 부부의 모습이 기억에 남는다. 다만 병자가 에이즈 환자다보니 콘돔에 대한 이야기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더라 하는 것은 별로였다. 책을 내려 놓으려니 이 세 사람은 지금 어떻게 살고 있을까 궁금해진다. 무엇보다 아이가 건강할지가... 마지막 장면에서 환하게 웃으며 여행을 떠나던 셋의 모습이 떠오른다. 그들이 앞으로도  괜찮을 거란 생각이 들게하던 장면이었다. 비록 푸른 알약이 그들을 징그럽게 따라다닌다고 해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