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 독종이 살아남는다 - 당신의 미래는 오늘 무엇을 공부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이시형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에 왜 Stop & Think란 말이 붙어 있는지 모르겠다. 멈춰서서 생각하라고?  멈춰서지 않으면 생각할 수 없다는 의미일까? 멈춰서서 곰곰히 생각해 보라는 의미인걸까? 달리면서 생각하면 안 되는 것일까? 음. 물론 웃자고 하는 말이다. 이런 썰렁한 농담에 웃을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싶지만서도, 앞으로 내가 쓸 내용을 생각하니 이런 말로라도 연막을 치고 싶은 방어본능이 작동한다.

 

이시형 박사님은 내가 존경하는 분중 한분이시다. 나보단 우리 아버지가 더 좋아하시는 분이기도 하지만...이시형 박사님의 <배짱으로 삽시다>는 아버지가 평생 읽은 몇 권의 책 중들중 한 권이자 아마도 감동받은 유일한 책일 것이다. 그렇다고 아버지 덕분에 존경하게 된 것은 아니고, 워낙 시원시원하게 옳은 말씀만 하시는 분이니  싫어할래야 싫어하기 힘든 분이란게 맞을 것이다. 눈치 채셨는지 모르는데, 이렇게 길게 존경 어쩌고 하는 것은 이 책이 이 시형 박사님을 존경하는 것과는 별개로 정말 별로였기 때문이다.

 

공부해라, 평생 공부해라, 특히 학교를 떠나 하는 공부가 진짜 공부다...라는 말이 이 책의 전부였으니 말이다.(물론 다른 내용도 있긴 하겠지만 기억에 남을 정도로 대단한 이야기는 없었다.) 그 외 , 공부를 잘 하기 위한 뇌 과학과 공부 능력을 두배로 키우는 방법에다 공부를 잘하기 위한 기술 몇가지 전수에 천재가 아닌 <창재>로 거듭나라는 주문까지 들어있긴 했지만 골자는 그거였다. 공부하라는...  

 

그런데 진짜로 공부를 잘 하고 싶은 사람은 이런 책을 읽고 있기보단 그냥 공부를 하는게 더 빠르지 않을까?  공부를 잘 하는 사람은 이미 각자의 요령이 있을 것이고, 또 공부를 전혀 못하는 사람은 이런 책을 수 만권 읽어도 공부를 잘 하기 어려울 거며, 또 미안한 이야기지만 공부를 못하던 사람이 갑작스럽게 공부를 잘 해보겠다는 의지를 다지면서 이런 책을 읽는다고 한들 그것이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 회의가 일었다. 한마디로 영양가가 없는 책이었다.

 

뇌 과학에 대해선 네이버나 다음 포탈등에 검색만 해도 이러저러 정보들이 쏟아진다. 포탈이 아니라도 신문이나 월간지 등에서 그리고 tv등에서 어떻게 하면 뇌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고 말들이 많다. 공부에 관한 것이라면 실은 너무 들이밀어서 정신 사나운 판에 뭐 특이할 게 있다고 요즘 같은 세상에< 공부하는독종이살아남는다.>는 책을 쓰셨는지...시대 착오적이라는 생각에 쬐금 안타까웠다. 언제나 시대를 선도하는 말을 하시던 분이였는데 말이지...내 견해에 의하면 공부 안해도 독종은 어디서나 살아남는다. 공부를 하면 더욱 좋겠지만서도. 그리고 필요하다면 공부를 해야지 어쩌겠는가? 생존본능이야 말로 인간이 가진 최후의 보루니 말이다. 그러니 공부하려는 자여! 그냥 공부하시라!  여의치 않으면 공부 더럽게 잘 하는 사람 붙들고 요령을 터득하던가...어쨌거나 이젠 공부 운운하는 책은 이젠 제목만봐도 신물이 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