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복자 펠레 레인보우 북클럽 10
마르틴 안데르센 넥쇠 지음, 정해영 옮김, 최창훈 그림 / 을파소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아내가 죽은 뒤 여덟살 된 아들 펠레를 키울 것이 막막해진 라세는 아들을 데리고 고향 스웨덴을 떠나 덴마크로 건너온다. 항구에서 갈 곳을 물색하던 라세는 늙은이와 어린 아들을 기꺼이 받아주려는 농장이 없다는 사실에 기가 죽는다. 하는 수 없이 스톤 농장에 일자리를 얻게 된 부자는 곧 자신들이 박한 임금과 열악한 노동 환경에 적응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억센 농부였던 콜레르가 일궈낸 스톤 농장의 현재 소유주는 콩스트루프로 그는 콜레르 가문의 외동딸과 결혼함으로써 마을의 제 1의 지주가 된 사람이다. 마을의 유명한 말괄량이었던 콩스트루크 부인은 잘생긴 외지인 콩스트루프에게 반해 집안의 반대를 무릅쓰고 결혼을 했으나 ,안타깝게도 그 결혼은 성공적이지 못했다. 늘 바람을 피고 돌아다니는 남편에게 절망한 아내는 알콜 중독자가 되어 밤마다 곡을 하고, 펠레는 돈이야 많지만 불행한 안주인이 안스럽기만 하다.

 

그렇다고 펠레가 남 걱정이나 하며 살 만한 처지인가 하면 그것은 아니었다. 힘에서건 서열에서건 농장에서 가장 밑바닥에 위치한 부자에겐 하루하루가 고난 그 자체였으니 말이다. 농장에서의 잡다한 심부름과 소몰이를 해야 하는 펠레를 이미 늙어버린 아버지가 언제나 보호한다는건 무리였다. 하지만 그럼에도 두 부자를 견디게 하는건 둘의 끈끈한 사랑이다. 가난하고 무식하고 가진것은 없지만 펠레만큼은 번듯하게 키우고 싶어하는 라세는 펠레가 학교에 들어가자 마냥 뿌듯해 한다.

 

펠레의 삶 역시 점차 범위가 넓어진다. 펠레의 첫 친구로 농장 주인의 사생아인 천덕꾸러기 루드, 아이를 열 셋이나 낳으면서도 언제나 낙척적인 칼레 삼촌, 학교를 다니게 되면서 알게 된 바다 친구들과 교장 선생님, 비열한 견습감독과 인부들을 부리는데 이골이 난 농장 감독, 그리고 그런 감독을 견제하던 자신만만한 에릭과  농장 사람들의 경외를 받는 처지임에도 늘 비극적인 기운을 몰고 다니는 주인내외 부부등 펠레는 자신을 둘러싼 사람들의 드라마에 저도 모르게 휘말리게 된다. 그들의 비극에 학을 떼던 펠레는 견진성사를 받고 나자 아버지에게 함께 농장을 떠나자고 설득한다. 평소 큰 세상으로 나아가 새로운 삶을 개척하고팠던 이 소년의 꿈은 과연 이뤄질 수 있을까?

 

척박하고 비극적인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마을에 소박하고 원초적인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을 그려낸 소설이다. 87년 칸 영화제 황금 종려상, 아카데미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에 받은  영화 < 정복자 펠레>의 원작으로, 원작 역시 영화 못지 않은 감동을 자아내고 있었다.

 

" 아들아, 나는 늙었으니  넌 네 세상을 찾아가거라" 라면서 펠레의 등을 떠밀던 라세, 그가  떠나가는 아들에게 손을 흔들던 마지막 씬의 감동이 지금까지 선명하다. 떨어질래야 떨어질 수 없을 것만 같던 애틋한 부자가 가난 때문에 언제 다시 만날지 모르는 이별을 하던 그 모습은 어찌나 안타깝던지.. 억세거나 미치지 않으면 살아가기 힘든 농장의 척박한 삶, 삶이 힘든 나머지 타인에게 다정은 커녕 갈구기에 바쁘던 사람들이 그럼에도 서로를 돌봐주는 모습이 애잔하고 인간적으로 다가왔다. 비극적인 운명을 타고 난 사람들 속에서도 결코 좌절하지 않던 펠레가 과연 그의 꿈대로 세상을 정복했을지 궁금하다. 아버지의 사랑과 희생이 그를 세상으로 보냈으니, 적어도 아버지의 삶보다 나은 삶을 살지 않았을까...그랬음 하고 상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