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복자 펠레 ㅣ 레인보우 북클럽 10
마르틴 안데르센 넥쇠 지음, 정해영 옮김, 최창훈 그림 / 을파소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아내가 죽은 뒤 여덟살 된 아들 펠레를 키울 것이 막막해진 라세는 아들을 데리고 고향 스웨덴을 떠나 덴마크로 건너온다. 항구에서 갈 곳을 물색하던 라세는 늙은이와 어린 아들을 기꺼이 받아주려는 농장이 없다는 사실에 기가 죽는다. 하는 수 없이 스톤 농장에 일자리를 얻게 된 부자는 곧 자신들이 박한 임금과 열악한 노동 환경에 적응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억센 농부였던 콜레르가 일궈낸 스톤 농장의 현재 소유주는 콩스트루프로 그는 콜레르 가문의 외동딸과 결혼함으로써 마을의 제 1의 지주가 된 사람이다. 마을의 유명한 말괄량이었던 콩스트루크 부인은 잘생긴 외지인 콩스트루프에게 반해 집안의 반대를 무릅쓰고 결혼을 했으나 ,안타깝게도 그 결혼은 성공적이지 못했다. 늘 바람을 피고 돌아다니는 남편에게 절망한 아내는 알콜 중독자가 되어 밤마다 곡을 하고, 펠레는 돈이야 많지만 불행한 안주인이 안스럽기만 하다.
그렇다고 펠레가 남 걱정이나 하며 살 만한 처지인가 하면 그것은 아니었다. 힘에서건 서열에서건 농장에서 가장 밑바닥에 위치한 부자에겐 하루하루가 고난 그 자체였으니 말이다. 농장에서의 잡다한 심부름과 소몰이를 해야 하는 펠레를 이미 늙어버린 아버지가 언제나 보호한다는건 무리였다. 하지만 그럼에도 두 부자를 견디게 하는건 둘의 끈끈한 사랑이다. 가난하고 무식하고 가진것은 없지만 펠레만큼은 번듯하게 키우고 싶어하는 라세는 펠레가 학교에 들어가자 마냥 뿌듯해 한다.
펠레의 삶 역시 점차 범위가 넓어진다. 펠레의 첫 친구로 농장 주인의 사생아인 천덕꾸러기 루드, 아이를 열 셋이나 낳으면서도 언제나 낙척적인 칼레 삼촌, 학교를 다니게 되면서 알게 된 바다 친구들과 교장 선생님, 비열한 견습감독과 인부들을 부리는데 이골이 난 농장 감독, 그리고 그런 감독을 견제하던 자신만만한 에릭과 농장 사람들의 경외를 받는 처지임에도 늘 비극적인 기운을 몰고 다니는 주인내외 부부등 펠레는 자신을 둘러싼 사람들의 드라마에 저도 모르게 휘말리게 된다. 그들의 비극에 학을 떼던 펠레는 견진성사를 받고 나자 아버지에게 함께 농장을 떠나자고 설득한다. 평소 큰 세상으로 나아가 새로운 삶을 개척하고팠던 이 소년의 꿈은 과연 이뤄질 수 있을까?
척박하고 비극적인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마을에 소박하고 원초적인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을 그려낸 소설이다. 87년 칸 영화제 황금 종려상, 아카데미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에 받은 영화 < 정복자 펠레>의 원작으로, 원작 역시 영화 못지 않은 감동을 자아내고 있었다.
" 아들아, 나는 늙었으니 넌 네 세상을 찾아가거라" 라면서 펠레의 등을 떠밀던 라세, 그가 떠나가는 아들에게 손을 흔들던 마지막 씬의 감동이 지금까지 선명하다. 떨어질래야 떨어질 수 없을 것만 같던 애틋한 부자가 가난 때문에 언제 다시 만날지 모르는 이별을 하던 그 모습은 어찌나 안타깝던지.. 억세거나 미치지 않으면 살아가기 힘든 농장의 척박한 삶, 삶이 힘든 나머지 타인에게 다정은 커녕 갈구기에 바쁘던 사람들이 그럼에도 서로를 돌봐주는 모습이 애잔하고 인간적으로 다가왔다. 비극적인 운명을 타고 난 사람들 속에서도 결코 좌절하지 않던 펠레가 과연 그의 꿈대로 세상을 정복했을지 궁금하다. 아버지의 사랑과 희생이 그를 세상으로 보냈으니, 적어도 아버지의 삶보다 나은 삶을 살지 않았을까...그랬음 하고 상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