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을 꿈꾸는가? ㅣ 환상문학전집 11
필립 K. 딕 지음, 이선주 옮김 / 황금가지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세계 전쟁 이후 폐허가 된 미래의 지구,전자 인간 안드로이드 사냥꾼인 릭의 소원은 진짜 양을 키우는 것이다. 방사능 오염으로 지구 동물들의 대부분이 멸종된 것도 이미 오래,그나마 아직까지 살아남은 동물들을 키우는 것이 지구인들의 최대 염원이 되버린 지금 릭은 가짜 전기양이 아닌 진짜 양을 키우기 위해 안드로이드 사냥에 나선다. 그가 상대해야 할 상대는 최신 개량종인 신형 넥서스 -6 안드로이드. 인간과 가장 비슷하게 설계되었다는 그들은 화성에서의 비참한 삶에서 벗어나기 위해 집단으로 지구로 도망쳐 도망자의 삶을 살고 있었다. 선배 현상금 사냥꾼인 데이브가 그들을 은퇴시키려 (=죽이려) 나섰다가 중상을 입자, 그는 그들을 일거에 처리해 진짜 양을 사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운다. 그가 안드로이드를 처단하기위해 나섰다는 말을 들은 넥서스 -6의 원형인 레이첼은 그들이 릭 혼자 상대하기엔 벅찬 상대라면서 돕겠다고 나선다. 한편 지구인 등급 기준으로 "특수자" 판정을 받은 (=쉽게 말해 저능아라는 뜻) 이지도어는 아무도 살지 않는 자신의 아파트 단지에 아리따운 여성이 이사 온 것을 알고는 반색을 한다. 그의 친절한 호의에도 냉정한 그녀, 그는 그녀가 안드로이드라는 사실을 알게 되지만 개의치 않는다. 현상금 사냥꾼이 그녀와 친구들을 죽이기 위해 나섰다는 말에 이지도어는 그들을 돕기로 마음 먹는데...
동물이 하도 귀하다보니 진짜 동물을 키우는 것이 간절한 소망이 되어버린 미래 어느 시대를 배경으로 인간과 안드로이드( 전자인간)와의 대결을 그린 SF 소설이다. 걸작이라 칭송 받는 <블레이드 러너>의 원작이라는데, 그 영화를 못 봤기에 단언하긴 뭐하지만 아마도 원작보다 영화가 더 잘 된 것이 아닌가 싶었다. 왜냐면 걸작이라고 말할 수 있는 소설은 아니었기 때문이었다. 상상력이 출중한 작품이라는 것에는 이견이 없지만, 인간과 안드로이드의 대결구조가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어 긴장감이 없다는 점 (어찌된 영문인지 지능이 우수하다는 안드로이드는 인간을 만났다하면 백전 99패였다. 사냥감 사냥 수준이 아니라 바퀴 벌레 죽이는 수준의 대결구도를 가지고 무게 아무리 잡아본들 허무하긴 마찬가지 아니겠는가.) 번역 탓인지 아님 원작 탓인지 다소 횡설수설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 4 년을 산다는 안드로이드들을 굳이 찾아내 죽어야만 하는가에 대해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점, 그리고 용무사미처럼 뭔가 대단히 철학적인 어떤 것을 말하려는 듯 보였지만 종래 건져지는 것이 없더라는 점이 걸작의 척도에서 한참 벗어나게 하고 있었다.
단, 이 책에서 제기하던 문제인 안드로이드와 인간과 구별할 수 있는가에 대해선 흥미롭다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면 자신이 인간인줄 아는 안드로이드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인간과 전자인간을 구별할 수 있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낮은 지능때문에 "특수자" 취급을 받는 이지도어의 경우와 비교해 보자. 그가 선의로 준 야생 거미를 안드로이드들은 불구로 만들어버린다. 다리 여덟개의 거미가 다리 네 개가 되었을 시 걸을 수 있는가 궁금하다는 이유로. 영리하지만 냉혹한 안드로이드와 지능은 낮다지만 다리 네 개가 된 거미를 받아들고 울상을 짓는 이지도어. 안드로이드를 죽이는 일을 하지만 자신들에게도 살아갈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는 안드로이드를 만나면서 점점 그들에게 동정심을 갖게 되는 릭도 마찬가지였다. 인간과 기계를 구별하는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결국 지능이 아니라 <영혼>을 가지고 있는가 아니냐가 아닐까 싶었다. 그것이 바로 우리가 새로 사고 버리는 과정을 아무렇지도 않게 반복하는 가전제품과 영원히 우리 마음속에 남는 온기를 가진 생명체와의 차이가 아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