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에 간 사자 웅진 세계그림책 107
미셸 누드슨 지음, 홍연미 옮김, 케빈 호크스 그림 / 웅진주니어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날 어슬렁대며 거리를 배회하던 사자는 마치 세상에서 가장 자연스런 일이라는듯 도서관에 스윽하고 들어간다. 난데없는 사자의 출연에 사람들의 반응이 어떨지는 안 봐도 뻔 한일. 무서움에  떨거나 호기심에 눈이 휘둥그레지거나, 절대 와선 안 되는 동물이 등장했다고 호들갑을 떨거나...하지만 왜 이 난리람? 난 그저 도서관에 온 사자일 뿐인데... 라며 그 소동과 자신은 아무 상관 없다는 듯 느긋하고 천진난만한 표정으로 도서관을 둘러보는 사자, 도무지 갈 생각을 하지 않는 것 같다. 새 책 냄새도 맡아보고, 여기 저기 구경도 하고, 느른하게 한잠 자더니만, 사서 아줌마의 이야기 시간이 되자 일어나 아이들과 함께 열심히 이야기를 경청한다. "재밌었나요? " 라는 물음에 당연하다는듯 으르르르렁~~~~도서관에 떠나가라 대답을 한 사자. 당장 관장님의 주의를 받게 된다. '여긴  도서관이여요.조용히 할 생각이 없거들랑 나가요.' 관장님의 꾸중에 사자는 자신은 그런 줄 몰랐다며 고개를 푹 숙이고 사과 한다. 그 다음날부터 도서관으로 출근을 하는 사자는 모든 이들에게 없어서는 안될 친구가 되어 사랑을 듬뿍 받게 된다. 여전히 의혹에 가득찬 시선으로 사자를 바라보는 맥비 사서만 빼고...

 

요즘 조카가 제일 좋아하는 그림 동화책이다.어른인 내가 보기엔 다소 뻔한(?) 줄거리라 아이가 좋아할까 했는데,의외로 뽀뇨와 함께 요즘 조카의 완소 그림책으로 당당하게 등극해버린 책이 되겠다.도무지 왜 이 책이 아이들에게 사랑받을까 생각을 해봤는데,대충 이런 이유 때문이 아닐까 한다.

1.우선 그림속 등장인물들의 표정이 생생하게 살아있어 글을 못 읽는 아이들이 그림만으로도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는 것이 좋았다. 특히 주인공 사자는 사람처럼 표정이 생동감 있었는데, 미안해하거나 시무룩해하거나 행복해 하는 얼굴들의 특징을 어쩜 저리도 섬세하게 잡아낼까 감탄스러웠다.

2.사람들과 어울리고 싶지만 아직 세상의 규칙을 잘 몰라 뜬금없이 야단을 맞는 일이 많은 (아이들의 입장에서 보면 억울하기 짝이 없는) 아이들로써는 사자의 고난이 남의 일 같이 않게 여겨질 것 같았다. 그래서 마침내 사람들이 사자의 선의를 이해하고 받아 들여진다는 결말에 아이들 역시 자신의 일처럼 안도하게 되는것이 아닐런지...

4.사자의 행동이 아이들의 그것과 너무도 닮아 있었다. 호기심 많고,도움이 되려 노력하며,이야기를 좋아하고,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는 법을 모르지만 마음 한 가득 선의와 또 그 선의가 미숙함때문에 오해를 산다는 점에서...모습은 비록 닮지 않았지만 자신과 같은 처지의 사자를 보면서 그들과 동일시를 하게 되는건 아닌지 싶었다.

5. 그림의 완성도가 높다는 점. 미적 감각은 타고 내어나는 것이라고 하더니(다른 말로 하면 아가들도 예쁜 것을 좋아한다는 말씀.) 역시 아이들도 아름다운 그림은 알아본다.

6.아이들은 동물을 좋아한다.그림 동화책속에 그렇게도 많은 동물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것은 절대 우연이 아니라니까.더군다나 아이처럼 행동하고, 이야기를 좋아하는데다, 것도 모자라 도서관에 출근하는 사자라니...아이들로써는 자신들의 로망이 실현된 것 처럼 느껴지지 않았을까?

한마디로 신경 써서 잘 만든 동화는 아이들도 알아본다는걸 깨닫게 해준 책이 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