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후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87
나쓰메 소세키 지음, 윤상인 옮김 / 민음사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표 작가로 불리는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로 제목이 심상찮아 본 작품이다.그 후라니...어떤것의 그 후란 말인지 종잡을 수 없는 가운데,왜 이다지도 난데 없는 제목을 지은 것일까 어리둥절했는데,알고 보니 이 작가가 원래 제목을 짓는데는 별로 관심이 없었다고 한다.아마 자신이 쓴 글에 워낙 자신이 있어 그런 것이겠지 싶다.이해도 된다.세계적인 작가라는 타이틀을 붙여 줘도 손색이 없는 사람이였으니까.<도련님>을 읽었을때도 느낀 것이지만 나쓰메 소세키는 도무지 일본 사람이란 생각이 들지 않는다.오히려 일본 사람들 기준으론 색다른 별종이라 그렇게 탁월하고 시대에 뒤지지 않는 글을 쓸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싶다.어쨌거나 읽어보니 너무도 내용에 딱 맞는 제목이었던 <그 후 >, 해부에 들어가보기로 한다.
 
어떻게 부를 일궜는지는 모르지만 어쨌거나 부자인 아버지와 그 아버지의 대를 이어 가세를 돕는 형 덕분에 대학을 졸업하고도 탱자탱자 놀고 먹으며 살고 있는 다이스케는 자신을 <고등유민>이라고 부른다.예민한 감수성 타고 태어난 고귀한 지식인인 그에겐 직업에 의해 심성이 더럽혀진다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뜻이다.30이 되어서도 결혼할 생각도 없이 용돈을 받아 생활하는 것을 당연시하던 그에게 결혼과 동시에 지방으로 내려갔던 친구 히라오카가 연락을 해온다.가정을 꾸리고 사회에 적응하느라 그간 고생이 많았다는 히라오카는 은근히 백수인 다이스케를 비난하면서도 직장을 알아봐 달라고 부탁한다.친구의 사정이 어렵다는 것을 직감한 다이스케는 어떻게 해서든 도움을 주려하지만 겉모습이 멀쩡해도 그 역시 아버지에게 손벌리고 사는 처량한 신세에.현실은 암담하기만 하다.그러던 차에 히라오카의 아내인 미치요가 돈을 융통해 달라고 찾아오자 흔들리는 자신을 발견한 그는 깜짝 놀란다.미치요를 사랑했음에도 친구와의 결혼 주선에 앞장섰던 그는 그 후로 그녀를 잊은 줄 알았던 것이다.불행해 하는 그녀를 보면서 안타까워하던 다이스케는 자신이 여지껏 결혼을 안 한 이유가 그녀 때문이었다는걸 깨닫게 된다.친구의 아내를 여전히 사랑하고 있다는걸 알게된 그는 이성을 따를 것인가 아니면 본성을 부름에 따라야 하는가로 고민하고...친구를 배신하게 된다는 죄책감속에 아버지마저 명문가 딸과 결혼 하지 않으면 경제적 원조를 끊겠다는 최후의 통첩을 날려오자 온실속의 화초처럼 살았던 그는 사면초가에 빠진 듯 좌불안석이다.과연 그는 이번에는 어떤 선택을 하게 될 것인가?
 
그 후라...인생은 크게 보면 몇몇개의 고비로 나눠 지는게 아닌가 한다.탄생,입학,졸업,결혼,죽음 그리고 다시  탄생의 순환 고리...사랑하는 여자를 절친한 친구의 손에 덜컥 맡기고 만 이 거만한 남자의 이야기를 들어보자.그 둘의 결혼 이후로 그는 자신이 괜찮아질거라 생각했다고 한다.인생의 한 장을 넘겼으니 단념할 거라 생각했던 것이다.널리고 널린게 사랑이고 여잔데,이성적인 그가 사랑에 발목 잡힐리 없다고 판단한 것.듣고보니 틀린 말도 아니다.냉정하게 말하면 사랑 그게 뭐 그리 대수일게 있겠는가. 영리하게도 작가는 주인공의 생각이 충분히 검증되고도 남을 만큼의 시간이 흐르고 난 뒤를 차분하게 보여주면서 독자들로 하여금 질문을 던진다.과연 그의 생각은 옳았던 것일까라고...자신의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사고대로 인생이 흘러가게 될거라 자신했던 주인공,인생이 그렇게 만만한 것이라면 얼마나 좋겠는가 만은...힘든것 모르고 고상하게 살아왔던 주인공이 진퇴양난에 빠지게 허우적대는걸 보니 어찌나 현실감있고 통쾌하던지 속이 다 후련했었다.그래서 이 세상엔 중뿔난 사람 없다는것 아니겠는가.개운치 않는 여운을 남기던 마지막 장면을 읽으면서 드는 생각은 그렇다면  "그 후"에 그는 어떻게 되었을까 라는 것이었다.다시 한번 "그 후"가 궁금해지는 대목이었다.그는 과연 자신의 이상과 현실과의 괴리를 어떻게 아우르며 살아가고 있을려는지 이 작품의 후속편이라는 <문>을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