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 가는 대로 산다는 것 - 구겐하임 문학상 작가 앤 라모트의 행복론
앤 라모트 지음, 이은주 옮김 / 청림출판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원제가 Traveling Mercies 라는걸 읽는 순간 어떤 영감이 떠올랐다.그래. 인생이란 바로 그런 거지라는 깨달음...과연 일평생을 살면서 타인의 자비에 도움을 받지 않고 살아가기란 얼마나 어려운 일일까?아니 얼마나 비참한 일일까? 휘리릭 내 짧은 인생을 스쳐갔던 사람들의 얼굴들이 주마등처럼 스쳐지나갔다.내가 인생의 고비들을 그럭저럭 넘어간 것도 다 그들의 자비였는데,어찌하여 난 그새 잊고 살았는지,반성이 됐다.다 이 책 제목 덕분이다.

 

작가 앤 라모트의 영적 성장을 그린 수필인 이 책 <마음 가는 대로 산다는 것>을 말하려면 우선 그녀의 이력부터 살펴 보아야 한다.자녀들과 함께 대마초를 피우고 술도 따라주는 너그러운(?)사람이었으나 신이라면 질색을 했다는 아버지,엄격한 페미니스트로 변호사가 되기 위해 바빴던 엄마...파티와 술과 불륜이 넘쳐나는 당최 종잡을 수 없는 가정의 둘째로 태어난 그녀는 십대부터 술과 마약에 절어 산다.이십대에 작가로 등단하긴 했으나 거의 무일푼 신세로 친구집에 더부살이를 하던 그녀는 아버지를 암으로 여의고 난 뒤 더 엉망이 되어버린다.매력적인 유부남과의 가망없는 열애에 마약과 술,거기에 낙태,거식증에 가난까지...인간 몰락의 밑바닥은 어디인가를 시험하는 듯 곤두박칠 치기만 하는 그녀는 미혼모로 아들 샘을 낳게되면서 정신을 차리려 노력한다. 절친한 친구를 암으로 잃으면서 고통에 차 절망속을 헤매던 그녀는 어릴때부터 아버지에게 주입 받아온 신에 대한 냉소를 물리치고 과감하게 신에게 다가간다.자신을 비판하지 않고 따스하게 맞아주는 교회 사람들에게 마음을 열면서 비로서 자기 자신을 되돌아 보게 된 그녀,늦지 않게 자신을 구해준 많은 사람들에게 감사를 보낸다.그 여정을 그린 책이 바로 이 수필집이다. Traveling Mercies 란 제목이  붙은 것도 당연하다 싶을 정도로 넘쳐나는 친절한 타인들... 난감한 인생의 굴레바퀴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그녀를 도와준 사람들을 보자니 내가 다 감사한 마음이 들었다.얼핏 내뱉기 힘든 고백들을 이 세상에서 가장 자연스러운 것인양 내뱉던 작가의 깔끔한 필력과 솔직 담백한 이야기 전개에 공감하기 어렵지 않던 책이었다.싱글맘으로 주변 사람들의 사랑을 모아 아들을 키워가던 그녀...고통이 크면 깨달음도 크다고,이제 아들과 함께 행복을 찾은 듯한 그녀에게 박수를 보낸다.

 

이 책을 보면서 깨달은 것이 있다면...

1. 아이들에게 너무 많은 자유를 주는 것이 자유를 주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나쁘다.

2.모든 것이 허영되는 삶이 행복하다는 것은 허구다.

3.우리가 마지막으로 기댈 수 있는 것은 언제나 인간이다.

4.신은 인간의 형상을 하고 오신다.

5.구원을 받고 싶다면 우선 본인이 손을 내밀어야 한다.

덤--마음에 들던 싯구 하나.(랭스턴 휴즈)

별먼지와

흙먼지

구름먼지와

폭풍먼지와

우박 파편들 속에서.

누구에게도 팔지 않을

한 줌의 꿈먼지를 그러모아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