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안의 특별한 악마 - PASSION
히메노 가오루코 지음, 양윤옥 옮김 / 아우름(Aurum)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성에 소재로 한 담론중 생각할 거릴 주는 도발과 웃음을 주는 해학,그리고 눈살을 찌프리게 하는 노출증의 경계는 분명 존재한다.그렇지 않다면 우리가 바바리맨을 보면서 불쾌해 할 이유가 없을테니 말이다.노출증 환자가 아닐까 의심되던 작가가 쓴 이 책은 여지껏 내가 읽은 어떤 책하고도 비슷하지 않았다.이렇게 유치하고 조야하며 조잡한 책은 읽어본 적이 없으니 그럴만도 하다.이해를 도울까 해서 기억의 근원까지 탈탈 털어 비슷한 것을 생각해내려 애 썼지만 건져지는 것이 없었다. 마광수님의 사라가 잠시 떠오르긴 했지만 이 책에 비하면 논리적이고 나름 품격 있어 탈락,변강쇠는 너무 건강해서 또 탈락.그러고나니 떠오르는 후보조차 없었다.이벤트 도서로 받은 책이라 울며 겨자먹기로 읽긴 했는데,첫 페이지부터 어찌나 돌려주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던지.내 미리 알았더라면 눈은 안 버렸을텐데 라면 한탄한 책이 되겠다.

 

<줄거리>조실 부모하고 수녀원에서 자란 프란체스코는 육감적인 몸매에도 불구하고 섹시함하고는 거리가 멀어 남자에겐 인기가 없는 처자다.그런 그녀에게 처녀성을 떼지 못한 고루한 여자들에게만 들러 붙는 다는 안면창(말을 하는 종기)이 찾아온다.그녀의 은밀한 곳에 자리잡은 안면창은 그녀에게 독설을 퍼부으면서 그녀의 일거수 일투족을 비판한다.내용이야 그녀가 바로 매력없는 여자라는 것,처음엔 화를 내며 반항하던 프란체스코는 점차 안면창의 말에 동화되어 가면서 여자로써의 자신감을 잃어간다.착하다고 하기엔 넘 멍청한,멍청하다는 말조차 과분한 프란체스코는 결국 자신에게 맞는 남자는 안면창밖에는 없다는 생각에 그에게 청혼을 한다.자신의 고문과 학대에도 그녀가 자신을 사랑한다는 말에 감격한 안면창은 실은 자신이 동화속 왕자였으며 저주를 받아 이렇게 된거라면서 희희낙낙하는데,그들의 사랑은 과연 어떻게 될까,아직까지 궁금하신 분?

 

이렇게 쓰고나니 줄거리가 있는 소설처럼 보이는데,뭐,굳이 그렇게 보려면 못볼것도 없지만 실은 이 책은 줄거리를 위해 쓰인 책으로는 보이지 않았다.그저 아랫도리(down under) 주인공으로 내세워 아랫도리의,아랫도리에 의한,아랫도리를 위한 책을 쓴 것일뿐...언젠가 김지룡님이 일본 성 문화의 변태쾌락주의적 현상을 분석하면서 우리나라로 넘어올까봐 걱정이라고 하시더니 ,아 ,이런 걸 두고 하는 말이었구나 싶었다. 화장실 낙서와  비슷한 수준의 말투에 일본 특유의 색채가(순진한 마조히스트에 대한  역겨운 환상이 프란체스코란 주인공에 의해 구현된다.)더해지니 딱 밥먹다 바바리맨을 본 듯 기분이 확 잡쳐졌다.이런 책을 판권료 내고 번역까지 해서 봐야 하는 것인지 몹시 씁쓸했다.그리고 성에 막 눈 떠서 관심사라곤 오로지 아랫도리밖엔 없는 정신 박약아가 쓴 듯한 내용에 아름답다는 찬사를 보내는 역자는 또 뭐란 말인가.건강한 성을 제대로 알기도 힘든 시대다.아니,제 정신 똑바로 박혀 살기에도 버거운 세상이다.제발,부탁이니 쓰레기는 좀 걸러서 수입해주심 안 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