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고일 1 - 불멸의 사랑
앤드루 데이비드슨 지음, 이옥진 옮김 / 민음사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띠지에 쓰인 숨이 막힐 정도로 아름다운 러브 스토리라는 말에 헛웃음이 나왔다.허허허....그렇군요.아름다운 러브 스토리였군요.띠지를 가차없이 휴지통에 버려 버리고...리뷰를 쓰려 작가 연보를 보다 이 책이 <장미의 이름>이나 <영국인 환자>에 비견된다는 말에 눈 튀어 나오는줄 알았다.야,그건 좀 심했다.들이댈걸 들이대야지...참,끌어다 붙이는 재주들도 탁월해요.소재가 비슷하다고 은근슬쩍 한 묶음으로 몰아 넣음 되나? 농담도 이 정도면 심각한 명예 훼손이라니까...
<줄거리>잘 나가던 포르노 배우이자 제작자였던 나는 사고를 당해 전신 화상을 입고 간신히 살아남는다.매력적인 외모에 천부적인 섹스 감각으로 거칠 것 없이 살았던 나에게 이제 남은 것이라곤 고통뿐,악에 받친 나는 모든 것을 저주하면서 자살할 생각만 한다.그러던 어느날 마리안네 엥겔이라는 여자가 홀연히 찾아와 "이번에도 또 화상을 입었네."라면서 내게 아는 척을 한다. 또?라는 의문에 마리안네는 나와 그녀의 연인 관계가 700여년서부터 이어져왔으며 전생에서도 내가 화상입은 환자였다는 이야기를 드문드문 들려준다.정신병동에서 온 마리안네의 출현으로 화상병동 의료진들은 긴장을 하지만 결국 나의 회복에 그녀가 도움이 된자 항복을 하고 만다.마침내 힘든 병상 생활을 끝내고 퇴원을 해야 하는 시간이 오고,마리안네는 당연히 자신의 집으로 가야 한다고 우긴다.가고일을 만들어서 생활한다는 그녀,나는 그녀의 조건없는 사랑을 받아 들여야 하는가 고민이 적잖다. 남자로써 구실을 못한다는 자괴감이 나를 좀먹는 가운데,왜 이제서야 진정한 사랑이 찾아온 것인지 나를 절규하는데...그 둘의 애절한(!) 사랑은 어떻게 될 것인가?
이 책을 읽으면서 아름다움의 정의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됐다.이 책에 대해 아름답다,신비하다,구원에 대한 놀라운 이야기로 가득차있다,지루할 틈이 없다는 다른 리뷰어의 말에 동조하지 못하는 나를 보면서 든 의문이다.아름다움이란 무엇일까? 화상을 입어 가고일같은 괴물이 된 사람을 여전히 사랑하는 여자의 순애보와 그에 힘입어 다시 살아갈 힘을 얻는다는 이야기에서 난 전혀 아름다움을 느끼지 못했으니 말이다.감정이입은 커녕 감동의 잔물결조차 일지 않았으니,아무래도 내가 생각하는 아름다움이란 관념이 남들과는 다른가 보았다.내게 이 책은 그저 통속적인 멜로를 고급스럽게 포장한 것에 지나지 않아 보였다.감정 과잉에,고통의 극대화를 통해 눈요기를 적절히 가미하고,사랑의 말초적이고 자극적인 속성을 잘 이용한데다,사랑의 최대치는 희생이라는 환타지의 재생산,그리고 현대인들의 외모 콤플렉스에 편승해 진정한 사랑은 외모에 구애받지 않는거라는 위선적인 설교,조잡한 복선에 사랑=심장이라는 구태의연한 도식의 반복,거기에 뜬금없이 등장하는 (단테)신곡의 지옥편 패러디까지...아름다움은 고사하고 공감가는 문장 하나 건지지 못했다.작품의 격이란 것이 작가 자신의 통찰력으로 채워넣어야 함에도 그보다는 다양한 언어와 단편적인 문화지식, 고전의 언급으로 작가의 얄팍함을 메꾸려 한 듯 보여 눈살이 찌프려졌다.분위기야 장엄하게 띄우고 있었지만 진부한 줄거리에 뻔한 결론으로 균형이 안 맞는 느낌이었다.유일하게 제목과 부합하는 상황처럼 보였다고나 할까.
"나는 화상 환자를 사랑할 수 있을까?"이 책을 보면서 많은 사람들이 그런 질문을 할 거라 본다.그리고 그 점이 내가 이 책을 보면서 가장 불쾌했던 점이었다.나는 그럴 수 있다,없다라는 대답을 하면서 사람들은 그것이 자신의 사랑의 깊이라고 착각하실텐데,사실 그것은 사랑과는 상관이 없는 문제다.그것이 인간성의 문제라는걸 고찰하지 못한 채 그저 한 편의 사랑의 환타지를 그려내는데 급급한 작가를 보려니 사랑을 남용하는 것 같아 씁쓸했다.자극적인 소재와 사랑때문에 죽음도 고사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려 주면서 "사랑은 이렇게 아름다운 것이여..."를 외치고 있었지만,그거야 뻔드르한 부도수표보다 가치 없는 말뿐이고....아름답다고? 만약 그것이 진정한 아름다움이라면 난 아마 아름다움을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일 것이다.그리고 이 경우에 있어서만큼은 남들이 날 무지하다고 손가락질 해도 상관없다.나는 그저 내가 알고 있는 것을 고수할 생각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