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코필리아 - 뇌와 음악에 관한 이야기
올리버 색스 지음, 장호연 옮김, 김종성 감수 / 알마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결단코 애매작...지루함.>

이라고 달랑 한줄 써놓고는 잊고 만 책이 되겠다.

 

인간에게 음악은 어떤 의미인가? 라는 질문에 대해 여지없이 꼼꼼히 대답을 해주고 있는 뇌신경학자 올리버 색스의 신작이다.번개를 맞은 뒤 갑자기 천재 음악가가 되어 버린 박사의 이야기에서부터,반대로 뇌졸증을 앓은 뒤 선율을 해석하지 못하게 된 음악 교수,아이큐는 60도 되지 않지만 음악에 과잉 반응을 보이는 윌리암스 증후군자들, 음악계의 서번트들,치매로 모든 기억을 잃었음에도 자신이 불렀던 파트만은 잊지 않는 합창 단원,뇌종양 때문에 음악만 들으면 발작하는 환자등등...우리가 아무렇지도 않게 듣는 음악에 대해 이렇게 다양한 반응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을줄 몰랐건만,그가 만나본 환자의 경우는 그야말로 천차만별이었다.올리버 색스는 그들의 연구를 통해 인간이 어떻게 음악을 듣고 창착을 하며 뇌의 어떤 부분을 사용해 음악의 천재가 되는가 하는 점들을 알려주고 있었다.이렇게 특이한 환자뿐만 아니라,흔히 우리가 일상적으로 간과하지만 늘상 음악과 관련되어 있던 문제들,즉,뇌는  어떻게 음악을 머리속에서 재생해 내는가 하는 의문,음악은 지루해 하지 않는다는 점 ,절대 음감과 상대 음감을 가진 사람들의 차이점과  음악의 신동은 어떤 사람들일까라는 등의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었다.

단지 그 이야기들이 중첩되어지면서 종래 지루해진다는 점이 문제긴 했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어릴적 내 추억들이 떠올랐는데, 한가지는 초등학교 2학년때 내 짝궁 은주에 대한 것이다.그  당시 우리 학교 가장 예쁜 꼬마였던 은주는 선척적 뇌 장애로 다른 아이보다 지능이 모자란 아이였다.특히 노래를 시키면 음정,박자,제대로 맞는거 하나 없는 음치의 절정을 보여주던 친구였는데, 음악 시간만 되면 나서서 노래 부르겠다고 손을 번쩍 드는 통에 선생님을 난처하게 만들곤 했었다.(아,이 생각을 하니 가슴이 뭉클해진다.) 매번 모른척 하기 힘들었던 선생님은 우리에게 웃지 말라고 엄하게 노려 본 뒤 은주에게 노래를 시키곤했는데,그때마다 그녀는  얼마나 행복해 했던지...이 책을 보니 음치들은 자신이 음치인줄 모른다고 한다.이제 왜 그녀가 그리도 당당하게 손을 들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풀렸는데,은주는 자신이 얼마나 엉망인지 전혀 몰랐던 것이다! 어찌보면 다행스런 일이라는 생각도 든다.

 

다른 하나는 내 기억에 관한 것인데,난 어릴적 추억을 떠올릴때면 항상 똑같은 색깔로 영상이 남아 있는것이 늘 의문이었다.이 책을 보니 어린 아이들의 음감은 어른들과 다르게 예민하며 그것을 색깔로 구분할 수 있다고 한다.어른이 되면서 그 능력을 잃어 버린다고 하는데,아마 그래서 내 기억속 과거가 같은 멜로디에 같은 색깔로 입혀진게 아닌가 추측해볼 수 있었다.한마디 덧붙이자면, 아이들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 영역은 어른들보다 훨씬 더 넓다고 한다.청각적인 반응에 아이들이 민감함 것도 다 그 때문이라고...

 

뇌와 음악과의 상관 작용에 혹 궁금한게 있으신 분들에게 이 책은 유용한 길라잡이가 될 것이다.하지만 재미 삼아 이 책을 읽으실 생각이라면 취침용으로 전용되기 쉽다는 점을 알려 드리는 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