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듀마 키 1 - 스티븐 킹 장편소설 ㅣ 밀리언셀러 클럽 86
스티븐 킹 지음, 조영학 옮김 / 황금가지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잘 나가던 건축가 에드거는 끔찍스런 사고를 당한 뒤 한쪽 팔을 잃는다.사고의 여파로 기억마저 뒤죽박죽이 되버리자 고통을 이기지 못한 그는 성격이 난폭해지고,급기야 아내도 이혼을 선언하기에 이른다.절망한 그는 자살을 생각해보다,결국 플로리다 해변 듀마 키에서 새로운 인생을 찾아보기로 한다.한가한 시간을 메울 생각으로 취미삼아 그림을 그리던 그는 생각지도 못한 예술적 재능이 자신에게 숨겨져 있음을 알게되고는 깜짝 놀란다. 주변을 산책하다 듀마 키의 소유자인 부동산 재벌 엘리자베스와 그녀의 집사 와이어먼을 만나게 된 그는 점차고립된 생활에서 벗어나고, 갑작스럽게 생긴 재능만큼이나 자신의 그림이 괴이하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한편 그가 그림을 그린다는 사실을 알게 된 엘리자베스는 각별한 관심을 보이면서 그에게 결코 딸들을 듀마 키에 데리고 오지 말라고 신신당부하는데...과연 엘리자베스의 경고엔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 영문을 알지 못한 에드거는 그녀의 말을 치매에 걸린 노인네의 헛소리로 치부하는데...
날이 선 듯한 스티븐 킹의 상상력이 여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던 소설이다.장황한 상황 묘사에 끝장을 보려는 듯 극한을 달리는 등장인물들의 감정 대립,가공할 만한 초자연적 실체와 싸우는 주인공들의 활약상,그리고 점진적으로 두려움을 극대화 하는 서술 방식에 선한 주인공들과 타협이 불가능한 악의 대결이라는 뻔한 대립 구조,그리고 주인공이 가장 사랑하는 인물을 제물로 내 놓음으로써 주인공의 악을 최대한 받치게 하는 뻔한 설정까지....99년의 교통사고 이후 오랜 부진끝에 내 놓은 최고의 작품이고 자신의 자전적 경험이 녹아든 소설이라고 광고는 요란하더니만,내가 보기엔 여전히 그 밥에 그 나물인, 스티븐 킹표 작법에서 한발짝도 벗어나지 못한 작품 같아 보였다.
요즘은 스티븐 킹의 새 책이 나왔다고하면 우선 미심쩍다.근래에 신작이라고 나온 책들중 집어 들었다가 제대로 끝까지 읽어 낸 책이 없으니 그럴 만도 하다. <듀마 키>가 나왔다는 소식에 그래도 이번에 다르지 않겠나,더군다나 신문 서평란에서" 스티븐 킹이 돌아 왔다"라는 호평까지 읽고나자 정말 괜찮은 모양이라며 의구심을 활활 불태웠건만...설마 이번에도 날 실망시키진 않겠지 라는 믿음은 물론 이번에도 날 실망시키는 것으로 끝이 났다.뭐,그나마 진전이 있었다면 이 책은 다 읽을 수 있었다는 것 정도? 것도 무지 힘들었다.특히 2권은...
스티븐 킹님은 도대체 몇 차원에 살고 계시기에 이렇게 천편일률적인 세계만 자꾸 양산해 내시는지 정말 연구감이다.본인이야 굉장히 다르다고 주장하고 싶겠지만 실은 분위기에서부터 주인공의 개성까지 <샤이닝>이래 쭉 별다르지 않다보니 이젠 좀 지겹다. 더군다나 이 책에선 교통사고 후유증때문인지 고통에 대한 묘사가 더 치밀하고 자세하던 것이 두드러지던데,덕분에 가뜩이나 기괴하던 그의 소설이 이젠 끔찍스럽기까지 한걸 보려니 한숨이 절로 나왔다.우리가 무슨 가학증 환자도 아니고 ,타인의 고통을 눈뜨고 지켜 보고 싶어할 사람이 얼마나 되겠는가.보아하니 킹 님은 아직도 교통 사고의 잔재에서 벗어나지 못한 모양이던데,작가의 경험을 통해 우리가 뭔가 배우길 원한다면 그건 문자화된 고통의 정도는 아니란 점을 생각하면 스키븐 킹님은 고통을 까발리기보다 우아하게 대처하고 적절하게 침묵하는 법을 배우시는 것은 어떨까 싶었다.작품을 위해서라도...어쨌든 호러 소설의 대가라는 분의 인간적 약점을 보는 듯해 아직도 이런 실수를 하신다는 것이 신선했던 소설이었다.아마 앞으로 나올 책은 이보다는 더 낫지 않겠는가 기대해 보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