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의 변화 - 상
산도르 마라이 지음, 김인순 옮김 / 솔출판사 / 2005년 7월
평점 :
품절



자신에게 맞는 사람은 어딘가에 살고 있기 마련이다?

<열정적 사랑--사랑이 전부였던 아내 일롱카 >깍듯하지만 냉정한 남편과 살고 있는 일롱카는 남편과의 거리를 좁히기 위해 갖은 애를 다 쓰지만 번번히 실패로 돌아가고 만다.거기에 둘 사이의 유일한 끈이었던 아이가 죽고나자 그녀는 질식 할 것 같은 결혼 생활에 더이상 더 무엇을 해야 할지 난감해 한다.우연히 남편의 지갑에서 보라색 끈을 발견한 그녀는 그것이 그들의 결혼생활에 드리워졌던 불행의 단서가 아닐까 의심 하게 된다.그녀는 사랑 없는 결혼만큼 삭막한 것은 없다면서 , 남편을 사랑하기에 남편에게 맞는 사람을 찾아 주겠다고 호언 장담하는데,과연 그것이 그녀의 생각만큼 바람직한 것일까?


 

<용기 없는 사랑--차가운 가면속에 열정을 숨기고 살았던 남편 페터> 부모의 무덤 같은 결혼 생활을 지켜 보면서 성장한 페터는 자신의 집 하녀인 유디트에게 반해 함께 살자고 청하지만 일언지하에 거절당한다.자신의 무모한 열정에 괴로워 하다 아름답고 지성적인 일롱카와 결혼을 한 페터는 아내에게 마음을 주지 못하는 자신을 발견하고는 외로움이 더해간다.뒤늦게 유디트가 자신을 기다리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된 그는 단숨에 아내와 이혼을 하고 유디트에게 달려 가는데,이제 그의 "유일한 그녀"와 결혼했으니 그는 외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그렇다면 그가 후에 자신에게 맞는 여인은 일롱카였다고 고백하게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파괴적 사랑--원초적이고 지극히 현실적인 사랑,유디트>이제 유디트의 이야기를 들어보자.본처 일롱카가 손에 넣지 못한 페터의 열정적이고 낭만적인 사랑의 대상이었던 그녀,하녀 주제에 신중한 부잣집 아들 페터의 청혼을 거절한 그녀의 속내는 무엇이었을까?그녀의 입을 통해 우리는 일롱카나 페터가 들려주는 이야기와는 전혀 다른 버전의 이야기를 듣게 되는데,그를 경멸했기에 그와 결혼할 수 있었다는 그녀의 말을 우린 어떻게 이해해야 좋은 것일까?

 

불행한 결혼생활을 한 세 사람의 진술을 통해 사랑과 결혼의 의미에 대해 생각하게 하던 소설이었다.우린 결혼이 개개인이 사랑으로 신중하게 선택한 결정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지만 원래 현실이란게 이상과는 거리가 있기 마련 아니던가? 작가는 우리의 상상과 현실 사이의 간극을 잔인하다고 할 만큼 적나라하게 보여주면서 낭만적인 사랑,순진한 사랑,지극히 현실적인 사랑이 거짓과 기만,가식과 환상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어떻게 결혼을 유린하고 오염시키는지 설득력있게 묘사하고 있었다.

 

자신에게 맞는 사람은 어딘가에 살고 있기 마련이다? 이 말에 대해 주인공 세 사람의 견해는 전혀 달랐는데 실은 그 누구의 주장에도 동조하기 싫었다.하지만 이 문장이 많은 사람들의 마음에 숨겨져 있을 거라는 것을 인정하기는 별로 어렵지 않았다.그래,외로운 결혼 생활을 곱씹으며 이 말을 중얼거리는 사람이 얼마나 많을까 생각해 본다.그리고 이 세상 모든 것이 불확실하다 해도 상대를 사랑하지 않는 것만큼은 확실하다는 말로 결혼생활을 시작하는 사람들은 또 얼마나 많을지도...불행한 결혼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많은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니,일면일 수도 있겠지만 결혼의 진짜 모습과 본심을 보여주던 괜찮은 책이 아닌가 한다.결혼을 앞 둔 분들은 읽지 말라고 하던데,엄살이 아닐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려 드리면서,어쩜 이 세상에 가장 성공한 인생은 믿음이 있는 사랑에 투자한 사람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