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녀 이야기 환상문학전집 4
마가렛 애트우드 지음, 김선형 옮김 / 황금가지 / 2002년 7월
평점 :
품절



어느날 북미에 소리 소문없이 쿠테타가 일어나 <길리어드>라는 국가가 세워진다. 여권신장에 따른 인구 감소--낙태와 피임에 의한--와 성의 난잡함이 나라를 망친다고 생각한 <사령관들>은 국가적 차원에서 위기를 관리해 나가자고 결심을 한다.그들이 정신병자들이고 그 전체주의적 이상이란 것이 얼마나 병적인가를 깨달은 국민들은 저항을 시작하나 무기력하게 무너지고 만다. 곧이어 그들의 입맛대로 사회체제를 대대적으로 개편한 사령관들은 여자를 다음과 같이 분류해서 서로를 감시하게 한다.

 

[아내와 딸]--지도자급과 결혼을 할 수 있는 선택된 계급으로 평생(결혼을 해도)순결을 지켜야 한다.

[시녀]--이 집 저 집 돌아다니면서 사령관들의 아이를 출산해줘야 하는 계급,세 번 임신 실패시 처형실로 보내진다.

[하녀]--가사일을 담당하는 계급,결혼과 성관계가 불가하다.

[비여성]--늙은 여자나 수녀등으로 수용소에 보내져 결국 가스실에서 생을 마감한다.

 

하루 아침에 그 정신 나간 사회 속으로 떨어진 오브프레드는 평범한 가정 주부에서 순식간에 시녀로 전락한다.남편도 딸도 이름도 직장도 잃은 채...시녀(자궁)로써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교육을 받으면서 그녀는 이 말도 안 되는 상황에 기 막혀 하지만 악몽이여야 하는 상황은 한치의 어긋남 없이 현실이 되버린다.새로운 근무지(?)에 할당되어 온 그녀는 이제 자살을 할 것인가 아니면 딸을 만난다는 가느다란 희망에라도 의존해 비루한 삶을 연명해야 할 것인가 갈등하는데...

 

도무지 이 작가는 어떤 정신 세계를 가졌기에 여성을 그저 아이를 낳기 위한 자궁이라는 도구로만 간주하는 사회를 만들어 낸 것일지 읽는 내내 궁금했다.이 얼마나 기괴한 일인가? 작가가 본인과 같은 종족인 여성을 영혼을 담은 개체가 아니라 자궁을 가진 도구로만 보는 사회를 그려 내다니 ...물론 작가가 여성의 경각심을 고취하기 위해 그려낸 작위적인 설정이라는 것을 이해하면서도 왠지 찜찜한 기분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만약 남자가 이 책을 썼다면 정신병동으로 실려갔거나 내지는 사회적으로 매장당하지 않았을까 싶을 정도로 가학적이고 부자연스럽기만 한 사회를 여자가 그려내고 있는걸 보자니 영 적응이 안 됐다.



 

그렇다면 길리어드라는 사회는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 그걸 만든 지도자의 생각은 이랬다고 한다. 남녀가 사랑에 빠져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아 기르는 과정은 낭비가 심하고 감정적 소모가 많으니 그것을 골자만 남겨 단순화 시키자고.그래서 만든 법이 다음과 같다.남자와 여자가 사랑에 빠질 기회를 차단한다.섹스는 임신을 전제로 할 때만,그것도 관리자급과 시녀라는 씨받이 계급의 여성들 사이에서만 하기로 한다.그렇게 성을 통제 받는 것은 비단 여성뿐이 아니다.시녀를 할당 받지 못하는 돈 없고 힘없는 관리자 이하의 남성의 섹스는 영원히 금지되니까.이렇게 나열해 보니 엄청나게 끔찍하게 느껴지는데 사실 우리 조선시대나 이슬람,인도 사회등 가부장적 사회를 극단적으로 확대해보면 비슷하다는 걸 유추해내는 것은 별로 어렵지 않았다.권력이 통제 수단으로 성을 무기화 삼는 것은 얼마나 쉬운일인가?관습이라는 미명하에 현재에도 자행되는 일이라는걸 생각해보면 우리나라가 그 정도는 아니라는 사실이 얼마나 다행인가 싶다.어쨌거나 이 책 덕분에 사회에서 성을 통제하는 방식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얻을 수 있었는데,이 책에서 느낀 점을 간단하게만 언급해 보자면 이렇다.

 

1.성을 통제하고 억압하는 것이 독재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강력한 수단이 될 수 있다.

2.씨받이라는 단어의 폭력적이고 비인간적이며 여성비하적인 사고에 대해 새삼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3.인간의 총체적인 면을 보는 것이 아닌 한가지에 촛점을 맞춰 등급을 매겨대는 분위기에 공감대가 형성되는 것은 바로 전제화를 위한 비옥한 토양이요 비인간화로 가는 지름길이라는 것이었다.그 가치가 인종이건 성이건 부건 피부색이건 생식력이건 간에 말이다.

 

대단한 상상력과 통찰력으로 만든 작품이긴 하다는 점에 이의가 없긴 했지만서도,너무 여성적인 시선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 한계로 보여지던 책이었다.책 속에서 주인공은 자신이 만든 체제의 효율성을 너무도 자랑스러워 하는 <사령관>에게 그가 미처 깨닫지 못한 체제의 단점을 이렇게 지적한다.사랑이 빠졌지 않느냐고...??? 그 대목을 읽으면서 정말 웃긴다는 생각을 했다.이 얼마나 지극히 여성다운 발상인가? 인간의 성이 독재의 수단으로 통제되고,늙었다고,동성애자라고,책을 읽었다고 사형에 처해지며,아이들은 기계적인 섹스를 통해 잉태되고,자궁이 망가지면 존재 자체를 도태시켜 버리며, 아내가 남편이 자식이 서로의 생사도 모른 채 살아가는 사회 속에서 살고 있건만,거기에 빠진 것이 단지 하나뿐이라고? & 그것이 바로 사랑이라고? 에라~~~!!!

 

인간의 자유 의지는? 존엄성은?인간애은? 가족애는? 그런건 머리 속에 떠오르지도 않더란 말이냐?실컷 비웃어 주고 싶었다.가부장적인 사회의 성의 어두운 이면을 잘 포착했다는 점에는 이의가 없지만,여성이 단지 자궁을 가지고 다니는 도구가 아니듯,모든 부정의를 사랑의 부재로만 해석해 버리는 건 받아 들이고 싶지 않았다.제발,여성 작가분들에게 간곡히 고하노니...사랑 타령은 이제 좀 고마 하그래이.마이 묵었다 아이가?쉽게 말하면 지겹단 말이다! 다른 이야기도 좀 들려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