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O
가네시로 카즈키 지음, 김난주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피맺힌 절규보다 크게 한번 웃기는 것이 설득이라는 면에서 효율이 높다는걸 알게 해준 소설이다. 이 책을 읽어야 겠다고 마음 먹게 된 것은 다카노 히데유키의 <별난 친구들의 도쿄 표류기>를 읽을 때였다. 그 책 속에 등장하는 일본 주재 외국인이 이 책을 감명깊게 읽었다면서, 차별이라는게 얼마나 웃기는 일인가 잘 보여 주는 수작이라고 엄지를 치켜 들었다는게 아닌가. 당장 귀가 솔깃해졌다. 재일 한국인이 쓴 책인데,걸작이라고?그럼 당근 읽어봐야지....
줄거리는 비교적 간단하다.재일 한국인인 스리하라는 폐쇄적인 조총련계 중학교에서 일반 고등학교로 입학한다.자신은 그저 자신일 뿐이라는 소신에서 한 행동이었지만 과거의 친구들에게는 배신자로,그리고 새 학교에서는 이방인 신세로 낙인 찍혀져 그는 곧장 외로워진다.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싸움으로 다져진 몸과 특이한 방식이긴 하지만 자식을 끔찍이도 사랑하는 부모님이 있었다는 것 정도? 그렇게 학교 안팍에서 외로운 파이터로 종횡무진 활약을 거듭하고 있던 그에게 난데없이 어여쁜 여학생이 대시를 해 온다. 둘의 로맨스가 무르익자 그는 자신이 재일 한국인임을 여자친구에게 어떻게 알려야 할 지 고민스럽기만 한데...
서두에 오해하지 말라고 누누히 강조하듯 이 책은 그저 주인공의 연애담이다.그리고 그래서 더 공감하기 쉬웠다. 정치적이었거나 편견을 시정해야 한다는 식의 친절 넘쳐주신 구호였다면 이렇게 마음에 와 닿지는 못했을 것이다.스기하라, 그가 원하는것은 대단한 것이 아니다.평범하기 그지없다. 재일 한국인이란 차별 없이 친구들과 우정을 나누고 여자친구와 사귀고 싶을 뿐이다.하지만 일본 사회에서 재일 한국인이란 타이틀은 평범이들의 일상을 뒤집는 힘을 갖는다.결국 일본 사회에서 특별 취급(?)을 받는 재일 한국인들이 살기위해 극단적으로 똘똘 뭉치게 되는 과정들이 극히 이해되기 쉽게 설명되고 있었다. 조총련이라...분단 국가란 현실 속에 살고 있는 우리 남한인에게 조차 이해되지 않는 그들의 비상한 단결력이 실은 차별 때문이란 사실은 무척 짠하게 다가왔다.이 책을 보면서 우리 자신안에는 그런 차별이 없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일이다.
만화같은 전개방식에 심각한 주제를 쿨하게 풀어나가던 순발력 있는 재치가 돋보이는 소설이었다. 등장 인물들의 개성 또한 만만찮았는데 스기하라 못지 않는 개성을 보여주던 그의 아버지도 압권이었다. 아들 사랑이 지극하던 나머지 배신자 소리를 들으며 한국 국적을 포기하는 그의 모습에서 우리나라 아버지의 듬직한 상을 발견하게 되던데,뜬금없이 마냥 뿌듯했다.덤으로 재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