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장의 교실 - 20세기 일문학의 발견 12
야마다 에이미 지음, 박유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1994년 12월
평점 :
절판


 

풍장의 교실이라고 제목을 들었을때  내가 기대한 내용은 절대 이런 것이 아니었다.얼렁뚱땅 덜렁이인 나는 풍장 風葬을 풍경風磬으로 잘못 알아듣고는 학교에 물고기 풍경이 이리저리 흔들리는 가운데 선생과 제자 사이에 눈물 없이는 볼 수 없는 감동적인 스토리가 전개되는 소설쯤으로 맘대로 짐작해 버린 것이다.그런데 아무리 읽어도 감동적인 스토리가 전개될 생각을 도무지 안 하네.반어적인 제목인가보다 뜨악해 하면서 읽은 결과 드디어 알게 된 사실은! 그 풍경이 아니고 풍장이었다는 것이다.하필이면 작가가 풍장의 유래를 마지막에 소개하는 바람에 다 읽는 동안에도 전혀 눈치를 못챘으니 이걸 누구에게 탓해야 하는지 참으로 (물론 나지만!) 난감하다.그나 저나 초등학교 교실에 난데없는 풍장 風葬 타령이라니,어찌된  영문일까?( 風葬---들에 시체를 그냥 내 버려두는 매장법,자연이 알아서 시체를 해체 하도록 둔 뒤 몇 년 뒤에 남아 있는 뼈를 수습해 정식 장례를 치른다고 한다.)

 

야마다 에이미의 걸작 단편 셋을 모은 단편집이다.<풍장의 교실><나비의 전족>그리고 <제시의 등뼈>라는 단편들로,저자의 개성이 유감없이 일관되게 발휘되고 있던  완성도 높은 작품들이었다.첫번째 단편인 <풍장의 교실>에서는 전학 온 주인공이 서서히 반 아이들에게 왕따 당하게 되는 과정을 그렸는데 ,왕따에 못이겨 자살을 생각하던 주인공은 결국 다른 교우들을 마음속으로 죽임으로써 그들의 잔인함에 대응하게 된다. 풍장이란 마음속에 버려진 교우들의 시체를 상징하는 주인공의 비유다.<나비의 전족>은 우정이라는 미명하에 자신을 후광처럼 달고 다니는 친구에게 벗어나려 남자와 자는 소녀의 심리를 <제시의 등뼈>는 흑인 남자친구의 혼혈 아들을 돌보면서 생기는 갈등을 조명한 것이다.

확실히 야마다 에이미는 다른 작가와는 차별되어 보였다.극단적일만치 섬세한 심리묘사도 그랬지만 섹스를 다루는 범상 찮은 태도라니...그녀의 소설이 히트를 친 후 그녀의 사생활이 논란이 되었다고 하는데 전혀 이상할 게 없었다.너무도 적나라하고 거침없는 표현들을 보고 있자니 나 역시도 실제 경험을 그린게 아닐까 호기심이 들었으니까.작가가 글을 잘 쓰긴 한다는걸 확실히 보여주는 예라고 하겠다.거기에 탄탄한 문장에 섬뜩하게 공감시키는 심리묘사,유려한 문체에 영리한 전개등은 그녀가 무게 있는 소설가임을 짐작할 수 있게 했다.일본 소설의 특징인 가벼움에서 탈피해 진지한 주제 의식을 가지고 있던 작가,단 한편만 읽은 상태에서 이렇게 말하긴 좀 그렇지만 요시모토 바나나가 아직도 소녀적인 감성에서 벗어나지 않은 듯 했다면  그녀는 초등 시절에 이미 소녀시절과 바이 바이 한게 아닐까 싶게 조숙했다.실은 너무 조숙해서 현실성이 없어 보였다. 되바라진 적이 없었던 내가 현실성 운운한다는게 우스운 일일지 모르겠지만서도.예민하고 삐딱하며 영악하고 발악하듯 현실에 대처하던 다양한 연령층의 여자들을 만나 볼 수 있던 소설,잘 쓴 소설이지만 내 취향은 아니었다.나와 취향이 다른 분들에게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