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에스프레소 꼬레아노 - 이탈리아 여자 마리안나와 보스턴에서 만나 나폴리에서 결혼한 어느 한국인 생물학자의 달콤쌉쌀한 이탈리아 문화 원샷하기
천종태 지음 / 샘터사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와,한국말 하고 싶어서 어떻게 나폴리에서 사실까 라는 생각이 들었을 정도로 말이 홍수처럼 넘쳐나던 수필집이다.미국으로 유학을 갔다 예기치 않게 이탈리아 여자와 사랑에 빠져 나폴리에서 결혼을 하고 가정을 꾸미게 되었다는 이탈리아의 꼬레아노의 "이탈리아 문화 원샷하기",진솔하고 재미난 필체로 외국에서 이방인으로 그리고 가장으로 살아가는 이야기들을 들려 주고 있던 책이다.

 
한국,미국,이탈리아 세 나라를 직접 몸으로 부대끼며 살았으니 할 말이 얼마나 많았겠는가? 짐작이 되고도 남는다.마음에 맞는 한국 사람이 있었다면 밤을 새고 들려 줬을 법한 이야기들이 책 하나에 응집되어 있었다.숨가쁘게 뱉어 내는 이야기들이 어찌나 자연스럽고 절절하던지 놀랄 정도였다.한국을 떠난지 20년이나 되셨다는데 그동안 한국 말로 수다를 떨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셨던 모양이다.직장에선 이탈리아어로,아내와는 영어로,그리고 밤이 되면 본인의 생각을 편지로 쓴다고 하시던데, 이 책을 쓰는 것 자체가 저자에겐 굉장히 신나는 일이 아니었겠나 싶다.마치 물고기가 바다로 나간 것 처럼...덕분에 난 이탈리아에 산다는 것이 어떤 기분일지 간접 경험 실컷 했다.

 이탈리아 사람과 우리나라 사람들이 닮은 점이 많다고 하더니 문화적인 면에서 보면 별로 그렇지 않았다.술 안 권하는 사회라던가,어떤 직장을 다니던지 정장 차림의 옷차림을 고수한다는 것,패밀리 밸류(value)가 몸에 배인 사람들이라든지, child first의 나라라든가,마피아에 대한 이야기들을 듣다 보면 확실히 우리랑 다르네 싶다.도둑이 극성이라는 이야기는 이탈리아에 발끝이라도 닿은 사람이라면 꼭 언급하는걸 보면 대단하긴 한가보다 싶었고...이탈리아에선 소매치기도 전문 직업으로 인정해 준다고 하던데,이거야 원, 직업의 귀천이 없다는걸 몸소 실천해줘서 고맙다고 해야 하는 것인지 헷갈린다.

 
저자가 2002년 월드컵 때 이탈리아와 한국이 맞붙었을 때의 이야기를 들려 주는데 여전히 무지 자랑스러웠다. 저자나 나나 한민족이 맞긴 한가 보다.이탈리아에 반해 그곳에 정착한 외국인들의 경험담을 담긴 책을 몇 권 읽은적이 있는데 같은 사회를 보면서도 전혀 다르게 생각하는 점들이 비교되서 흥미로웠다. 여자가 쓴 정착기의 경우는 주로 그곳은 천국이고 삶을 찾았노라가 테마라면 이 책같은 경우는 사회 전반에 걸쳐 예리한 눈으로 분석을 하는 것이 달랐다고나 할까. 자신이 몸 담고 사는 사회의 동향에 촉각을 곤두 세우는 남자와 그렇지 않은 여자의 차이에서 오는 것이 아닐까 싶다.이탈리아 주재 특파원이 쓴 듯 다양한 주제를 소화해내는 저자에게 훨씬 믿음이 갔으니,그냥 무작정 천국이란 말은 어딘지 믿겨지지 않는다니까. 뒷면에 1+1=5이란 인생의 곱셈 법칙을 실천하고 계신다는 저자의 가족 사진이 박혀 있었는데 화목하니 보기 좋았다.그래,우리 한민족이여,어디서 사시건  그렇게 행복하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