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한 아이 무조건 쉬어야 한다 - '아동우울증'에 시달리는 아이들을 위한 예방.진단.대처법
덴다 겐조 지음, 김주영 옮김, 김은영 감수 / 알마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우울한 아이가 증가하고 있다는 말에 놀라서 들여다 본 책이다.내가 자랄때만 해도 우울한것을 심각하게 생각해 본 적은 없었던 것 같은데,시대가 달라진 것일까?아님 어른이 되고 나니 어린 시절의 고통이 기억나지 않는 것일까? 둘 다 일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어쨌거나 이제 시대가 변했다.아이들도 우리 때랑은 좀 다르고. 아이들이 우울해 봤자지,하면서 가볍게 생각했는데 그렇게만 볼 게 아니라고 한다.요즘 아이들의 우울은 차원이 다른데다,이 책을 쓴 일본 정신과 의사 말에 의하면 현재 증가 추세에 있다고 하니까.아직은 몸이나 마음이 모두 연약한 아이들, 우린 아이들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아이들을 잘 키워야 하는 책임감이 있는 어른들로써는 한번 주의를 기울여 살펴 봐야 하는게 아닐까 싶었다.아이가 오래 우울해 하지 않는지.우울함 때문에 다른 증상이 나타나지는 않는지.더군다나 아이들은 자신의 상태를 파악하거나 설명하지 못해 더 고통스러워 한다고 하니 아이들의 우울증에 관한 한 어른들이 잘 알고 대처해야 되겠다 싶다.

쉽게 진단이 가능한 아동 우울증의 증세를 살펴 보면 우선 신체 증상으로,

 
1.수면장애--중간에 잠이 깬다.아침 일찍 눈이 떠진다.

2.식욕장애--식욕 감퇴,체중 감소

3.일내 변동--아침에 기분이 나쁘다가 저녁으로 갈 수록 좋아진다.

4.몸이 나른하다.--몸이 무겁다,쉽게 피로하다.등이 있다고 한다.

다음 정신적인 증상으로는

5.흥미,관심 상실--좋아하는 일이 즐겁지 않다.

6.의욕 관심 상실--기력이 없으며 일하기가  다 귀찮기만 하다

7.지적 활동 능력 감퇴--집중을 할 수 없고 머리 회전이 안 된다.는 것이라고 한다.

 

우울증의 본질적인 증상은 전반적으로 보자면 에너지가 떨어진 상태라고 보면 되는데,현재 많은 아이들이 자신들이 우울증에 걸린 줄도 모른채 고통을 당하고 있다고 한다.특히 완벽주의자나 멜랑꼬리형 아이들이 잘 걸린다고 하는데 그건 어른들의 우울증과 차이가 있어 보이진 않았다.다만 아이들은 언어로 표현하는데 서툴러 우울증에 걸려도 그게 뭔지 잘 모른다고 하고,그대로 놔두면 증상이 악화되거나 심하면 자살에 이르게 된다고 하니,아이들을 가지신 부모님들은 혹 자신의 아이가 우울증이 아닌가 잘 살펴보는게 좋겠다.증상의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대걔  약물치료와 쉬는 것만으로도 쉽게 치유가 된다니 그나마 다행이다.물론 어린 아이들에게 약물 치료를 해야 한다는 것이 그다지 내키지는 않지만서도,다른 방법이 없다면 어쩌겠는가? 고통을 당하는 것보다야 낫지.어떤 병이고 마찬가지 겠지만 우울증도 치료보다 예방이 더 낫다.그러니 아이가 완벽에 대한 강박관념은 없는지,힘든 변동의 시기를 겪고 있다면 어떻게 잘 대처하고 있는지 부모가 살펴 보시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