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왕
이사카 고타로 지음, 김소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코타로의 대표작이라고 해서 기대잔뜩하고 본 책이다.이게 대표작이라니...어떤 기준에서 뽑혔을지 이해되지 않는다.실수거나 과장이거나 일본인다운 호들갑의 일종이거나 어쨌거나 거의 동의하기 힘든 선정,절대 대표작일리 없다고 주장하는 바다.메시지는 좋았을지도 모르지만,완성도 면에서는 부족했기 때문이다.

 

어린 시절 부모를 한꺼번에 잃고,고아가 된 형제 안도와 준야는 서로에 의지해 살아가는 평범한 형제들이다. 그런 그들에게 갑자기 한가지씩 남들에겐 없는 특별한 능력이 생기는 것으로 책은 시작된다.<형 안도>는 가까운 거리에 있는 사람을 복화술로 말을 하게 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는데,그것을 알고는 흥분한다.보다 나은 세상을 위해 자신의 재능을 쓸 수 있지 않을까 해서...하지만 세상은 너무도 복잡하고,안도 본인은 생각이 너무 많다.결국 파시즘으로 일본을 내몰 것 같은 새로운 정치인 이누카이를 막아 보려 다가 죽음을 맞게 된다.그의 뒤를 이어 5년후, <동생 준야>의 활약이 시작된다.언제나 내기에서 이기는 능력을 가진 동생은 형과는 달리 사회엔 관심이 없었다.하지만 형의 죽음으로 세상을 보는 시선을 바꾸게 된다.이누카이는 이제 총리가 되었고,준야는 형을 대신해  끊임없이 생각한다.그는 획일화,폐쇄성,외국인 혐오증을 부추기는 사회 분위기에 대항해 무언가 해 보겠다고 다짐을 하는데...

파시즘이 상징하는 획일화와 인간 말살을 작가가 얼마나 경멸하고 경계하는지 잘 보여준 소설이었다.나름 사회를 보는 통찰력도 있고,일본이 보다 나은 사회로 나아가길 원하는 작가의 선한 마음에 안도하게 됐었다.다행이지 뭔가.일본 작가들중 다 정신 나간 사람들만 있는건 아니라니...예전에 한일 작가들이 모여서 과거 화해 어쩌구 저쩌구를 하다가 결구 바까야로!고함을 치다 끝이 난 것을 기억한다. 적어도 이 작가라면 말이 통하지 않을까 싶다.객관적인 자세를 견지하던,일본이란 우물안 개구리에서 벗어나려 노력하고,또 그 노력이 유연하게 표출되던 작가였기에...내가 왜 그를 일본인이지만 좋아하는지 이해가 되는 대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