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째 아이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
도리스 레싱 지음, 정덕애 옮김 / 민음사 / 199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로 집을 꽉꽉 채우면 행복이 저절로 찾아 올거라 믿은 부부가 있다.그들은 호텔같은 집을 사서 아이들을 줄줄이 낳고,친척들을 불러 모아 자신의 행복을 과시한다.고립되고 불행한 현대인들과는 달리 북적이는 사람들 속에서 행복하기만 한 그들은 자신들에게 한 치의 허영이나 허상, 위선이 없다고 자신한다.하지만 진실은 그들이 철저히 속물이라는 것이다.기를 능력이 없음에도 일이 잘못 되어갈 때마다 아이의 숫자를 늘리는 것으로 위기를 모면하려는 그들,아이들이 무슨 행운의 복권도 아니고 ,로또를 하듯 아이들을 뽑아선 안되지 않는가?하지만 그들은 다른 사람들이 자신처럼 살지 못하는 것을 안스러워 하면서 자신의 생활방식이 옳다는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그래서 친척들이 자신을 무책임하고 이기적이라고 비웃고 손가락질 할때도 코웃음 칠 수 있었다.그렇게 그들은 사랑할 수도,행복할 수도,웃을 수도,다른 이에게 자신의 아이들 양육을  떠 넘길 수도,남을 비난 할 수도,심지어는 행복한 척 할 수도 있었다.다섯째 아이가 그들의 정체를 폭로하기 전까지는...

 
읽으면서 소름이 돋았다.왜냐면 이 소설 속에 나오는 주인공들과 똑닮은 부부를 개인적으로 알기 때문이다.아들만 낳으면 행복해 질거라 믿던 그 부부는 줄줄이 아이를 낳았는데,그 부부에 대한 주변사람들의 시선이 바로 이 책에 나오는 사람들과 똑같았기에 읽으면서 작가의 통찰력에 감탄할 뿐이었다.아이들로 집안을 채우는 것이 행복의 지름길이라는 신화는 부모가 감당할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그 이상은 비정상적인 것이다.무엇보다 아이들의 행복이 아닌 부모의 행복을 위해 아이들을 수집하듯 모으는 것은 심하게 보면 아동학대다.그걸 집어내는 작가의 통찰력이 놀라웠다.그리고 영국이라는 곳(서양)과 한국이라는 곳(동양)의 다름에도 불구하고 무책임한 사람들에 대한 반응이 똑같다는 것도.문제의 핵심을 잘 파악한 주제의식과 인물의 개연성이 압권! 실재하는 사람을 보는 듯 적확하기 그지없었다.묘사는 군더더기 없으며,딱 그에 해당하는 말만 하고 넘어간다.넘치지도 않고,그렇다고 부족하지 않는 상황의 개연성과 설득력 있는 장면 전환엔 혀를 내둘렀고...노벨상을 탈 만했다.그녀의 책을 처음 읽는 나로써는 뒤늦게 박수를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