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길에서 나를 만나다 - 나의 야고보 길 여행
하페 케르켈링 지음, 박민숙 옮김 / 은행나무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독일의 유명 코미디언인 케르켈링은 야고보의 길이란 순례의 여정이 명사들의 순례 코스라는 것을 발견한다.셀리 매클레인도 다녀왔도,코엘료도 다녀왔다.그들의 책이 모두 주목을 받는데다 마치 현대의 성자처럼 추앙까지 받는게 아닌가.명색히 자신도 명사! 가만 있을 수 없다.그래서  짐을 꾸려서 여행을 떠난다.잠은 되도록이면 호텔에서 자고,청결함은 기본이다.세시간 반만에 17킬로미터를 걷고는 기립박수를 받아야 한다고 감격하고,걷기 힘드면 지나가는 차를 얻어탄다.어린 아이처럼 꼬박꼬박 하루의 기억해야 할 명언들(훗날 자신을 추앙하게 될 사람들을 위한)을 생각해내며 (예를 들자면 '나는 내 안에서 집을 찾은 듯한 기분이다.''마음을 열고 그날에 입 맞춰라''우리가 누리는 어떤 것들은 공짜가 아니다!''때로는 신경에 가장 거슬리는 사람들이 우리에게 도움이 된다.'"마음은 항상 옳다''나의 약점이 나의 강점이다.'등등 대체로 유치하고 아전인수격인 말일때가 대부분이다.) 깨달음을 얻어야 한다고 늘 강조한다.(물론 남에게 보여 주기 위한 다짐이니 신경 쓸 거 없다.)"나는 나를 찾아야 한다고" 깩깩대던데,잃어버린 적도 없는 자신을 찾는 그를 보자니 한심했다.첨부터 끝까지 자기만 아는 성격 그대로,변함없이,한결같이 쭈욱 밀고 나가면서, 요즘 자신을 찾는다는 말이 유행이란건 어디서 들어 가지고...유행에만 민감한,자신이 대단한 무엇인줄 아는 사람의 형편없는 여행기,자신이 얼마나 한심한지도 모르는 듯했다.재밌는 것은 그가 자신을 대단히 착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것이었다.물론 착하긴 했다.밥맛 없는 성격이 그 착함을 중화시켜서 문제지.

 도무지 왜 이 책이 번역이 되서 나왔는지 모르겠다.이 정도의 무례를 참아야 한다면 안젤리나 졸리나 패리스 힐튼 정도는 되야 한다.유럽 하급문화의 표본을 보여 주기 위해서 이런 고급종이에 멋진 표지를 달아 우리에게 던져준 거라면 너무 심한 낭비가 아닐까 싶다.나무에게 , 야고보란 순례길에 미안하다.<그 길에서 나를 만나다>란 멋진 제목이 아까울 뿐이고...우린 그냥 그가 그 길에서 그를 만났다고 주장하게 내 버려 두자.확인할 필요까진 없지 않은가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