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픈 북 - 젊은 독서가의 초상
마이클 더다 지음, 이종인 옮김 / 을유문화사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기자가 좋은 책을 내는 일은 흔하다.그런데 아직까지 서평가가 좋은 책을 내는 것을 본 적은 없다.그렇게 많은 책을 읽은 서평가들이,정확하고 예리하게 책의 장단점을 집어 내는 사람들이 정작 본인의 책은 형편없다는 것처럼 실망스러운게 있을까.아니 그건 실망스럽다기보단 아이러니하게 느껴진다는게 옳을 것이다.그렇게 책을 많이 읽었다면 적어도 단점만은 피해 갈거라 믿게 되니까.
마이클 더다,워싱톤 포스트에서 서평가로 활약중인 그가 자신의 어린시절부터 청년시절까지의 이야기를 쓴 것이다.어린시절부터 책에 코를 박고 살았노라는 말을 증명하듯,대부분의 장들이 그가 읽은 책들로 메워져 있다.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노력하긴 했으나 가난하고 배운 것이 없던 부모,그리고 누이동생 셋과 함께 복작대며 하루를 보내던 그가 스토리에 미쳐서 잡지,만화,소설,모든 책들을 닥치는대로 읽어 치우는 과정들이 그려져 있다.
각설하면,이런 책은 전혀 읽을 가치가 없다.배울 것이 없기 때문이다.뭘 배우겠는가? 어린 시절 책을 좋아했는데,그때 읽은 것들중 걸작들은 사실 이해도 가지 않았고,단지 어른이 되서 좀더 많은 책을 읽기 위한 바탕이 되었다더라 하는 것을 알기 위해 400페이지 가까이 되는 책을 읽는건 낭비다.안타까운 건 이 사람도 자아도취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이다.책을 쓴다는 과정은 기본적으로는 남들에게 보여 지는 것이고,그것은 독자에게 뭔가 얻을 것이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좋은 작가란 그것을 본능적으로 잘 잡아내는 사람이고,그럴려면 자기 자신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균형감각이 있어야 한다. 글을 아무리 잘 쓴다고 해도,균형감각의 결여는 작가로써는 치명적이다.게다가 어린 시절 책을 좀 읽었다는 것이 본인에겐 특이했을지 모르나,넓게 보면 그리 특이한 현상도 아니다.어린 애들이 할게 뭐가 있겠는가?뛰노는거 아니면 책 읽는거지.세상에.어린 시절 읽은 책을 줄줄이 나열하는 이 사람을 보고 있자니 한심했다.누가 그것에 관심이 있다고.그것이 독자들에게 무슨 이득이 있다고.더우기 그가 들려주는 어린시절은 도무지 재미라고는 눈꼽만치도 없었으니,책에 빠져 살았던 것도 당연했다 싶다.지루했던 어린시절의 잡다한 책 이야기들...차라리 잠을 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