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크릿 - 수 세기 동안 단 1%만이 알았던 부와 성공의 비밀
론다 번 지음, 김우열 옮김 / 살림Biz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은 무엇이든 끌어당길 것이다.돈이 필요하다면 돈을 끌어 당기고,사람이 필요하다면 사람을 끌어 당기며 ,어떤 책이 필요하다면 그것도 끌어 당기리라.자신이 어디에 끌리는지 주의 하라.끌리는 대상에 마음을 집중하고 있으면 당신도 그리고 끌려가고 그것도 당신에게 끌려 올 테니.그것은 문자 그대로 당신을 통해서 실체로 나타나게 된다.그리고 그렇게 하게 만드는 원동력은 바로 법칙이다.--밥 프록터]

이 책을 한마디로 나타낸 문장을 적어 보았다."내 인생의 비참함의 원동력을 깨닫게 해준 명저"라는 극찬과 "순사기"라는 분노에 찬 반감까지 리뷰어의 반응이 다양하던 책이었다.그래서 이 책을 읽기전엔 나도 내가 어떤 입장을 지지할 지가 궁금했었다.그런데 읽어 보니 둘 다의 말이 다 맞더라.두 진영으로 나뉘어서 싸우는 것이 전혀 이상할게 없는 것이 이 책 자체가 논란 거리를 제공해 주고 있었다.한 책을 읽으면서 이처럼 "대단한데?,끔찍하군,좋은데,좋군,정말 어이없군,그 말은 맞는 것 같네.야,이건 순 사기잖아..."로 끊임없이 감정이 파도처럼 들쭉날쭉하던 건 이 책이 처음이다.사람들의 격찬과 반감이 오가던 것이 전혀 이상할게 없었다.내가 본 격찬과 반감사항을 간략하게 언급해 본다면...

<격찬사항>1.인생은 자기 맘먹기 달렸다는 통찰,맞는 말이다.사람들은 누구나 행복하고 ,부자며,사랑하며 살기를 바랄 거라고 믿지만 사실 인간의 내면을 그보단 복잡하고 어두우며 다양하고 부정적이며 이채롭다.당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진실로 원하는 것을 얻게 되리라는 말씀,어느정도는 일리 있는 말이다.제대로,진심으로,간절하게 희구하라.그러면 얻게 될 것이라고,부정적인 에너지를 떨쳐 버리고 긍정적인 에너지만 끌어 들인다면 당신이 바라는 그런 인생을 살게 되리라는 말이었다.

2.생각을 에너지 파동으로 보는 것이 흥미로웠다.생각도 힘(=POWER)이란 말씀,긍정적인 생각의 힘의 막강파워를 주장하면서,그 에너지가 우주의 자비로움을 끌어 들여 당신이 원하는 것을 들여줄 거라고,왜냐면 우주의 자비는 끝도 한도 없는 무한한 것이란 말,막연하긴 하지만 총괄적으로는 수긍이 가는 말이었다.

<반감사항>1.이 책엔 잭 켄필드가 나온다.내 혐오 작가 넘버 원인 이 사람 왈,자신은 더할나위 없이 성공했는데 그것은 자신이 그것을 간절히 바랬기 때문이라나? 웃기고 있네.네가 성공한 이유는 마약같은 아무짝에도 쓸모는 없지만 읽으면 기분 좋은 책을 양산해냈기 때문이야.다른 사람보다 훨씬 더 뻔뻔했기 때문이라고.단지 네가 성공했다고 해서 그걸 정당화하면 곤란하지.
2.아인쉬타인이 성공한 이유는 그가 늘 매사에 감사하면서 살았기 때문이라나? 그가 성공한 것과 그의 사상이 위대했다는 것은 인정하나 그것이 바로 성공인생인가?그 가족들이나 주변 사람들중 그로 인해 행복한 사람이 드물던데,성공이란 잣대로 인생 전반을 평가한다는 건 무리가 아닌가한다.
3.때론 인생에 뜻하지 불상사가 생긴다.그걸 네 자신이 끌어 당긴일이라고 설명하는것은 곤란하다.그리고 때론 자신의 힘으로는 해결하기 힘든 막대한 피해를 입기도 한다.알콜 중독자인 아버지 밑에서 맞고 자라고, 소아 성애자에게 강간을 당하며,억울한 모함을 받는다 해도 인생은 다 자기 맘 먹기 달렸다는 말을 건네는 것은 사실 섬뜩하고 무책임한 일이다.
<결론> 이 책이 인생의 모든 성공 법칙을 설명해줄 거라 기대했다면 필시 실망할 책이다.왜냐면 인생의 법칙을 단 하나로 압축해서 보여 줄 수 있는 그런 것은 없기 때문이다.인생의 거대함은 우주보다는 작다고 해도,우리의 인식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이다.축약을 한다 해도 그렇다.이 책은 그저 인생의 어떤 작은 한 부분을 설명하는데는 적확한 책일 뿐이다.우리의 부정적인 에너지가 삶을 망치는 이유일 수도 있다는.하지만 인생의 모든 것을 커버하긴 무리였던 책이었다.그러니,분노하지 마시라.이 책이 당신의 아픔을 치유해주지 못했거나 궁금증을 해소해주지 못했다고 해도 말이다.

너무 진지하게도 받아들이 필요도 너무 거부할 필요도 없는 그런 책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면서 리뷰를 마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