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십 일
짐 크레이스 지음, 김석희 옮김 / 열린책들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1.예수가 천재라는 것이 그렇게 이해하기 어려운 일일까?예수가 신의 자식이건 사람의 자식이건 말이다.
그가 인류가 배출해 낸 4대 성인중 한 사람이고 그가 살아 있는 동안 주절댄 몇마디 되지 않는 말들이 2천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우리 주위를 떠돌고 있다는 것을 굳이 들먹이지 않더라도 말이다.
성경을 읽어보면 금방 파악이 안 되나?그가 천재라는 것이?
2.예수의 서른 세해를 상상력으로 재구성하는 소설들은 많다.
그의 일생이 작가들에게 끊임 없는 영감을 주는 모양인데, 그 상상력이 이 책처럼 처참하게 실패하는 경우는 처음 본다. 짜증이 날 정도다.참신한 상상력의 부재가 그대로 드러나는 책이었다.
예수의 <광야의 40일 시련>을 기본 소재로 한 것이다.
사람이 단식을 할 경우 최대 버틸 수 있는 기간이 30일이라는 의학적 소견을 바탕으로 뭔가를 얻으러 광야로 갔던 예수가 단식 30일 만에 죽었는데 신의 개입으로 부활 했다는 것.
예수가 기도를 하러 간 광야의 동굴에는 개차반 상인(아내를 무시하고 다른 아내를 강간하는)과 그의 아내, 10년간 아이를 낳지 못해 고민을 하다 개차반의 강간으로 아이를 잉태하는 여자,암에 걸린 사람, 노인, 병어리 행세를 하나 사실은 도둑놈인 사람등이 모이게 된다.
그들은 예수의 죽은 것을 보고 매장한 뒤 헤어지는데, 그 중 개차반 상인이 예수가 부활 해 돌아 다니는 것을 보고는 그를 따라 간다는 것이 줄거리다.
경배 해서가 아니라 예수의 "말"을 파는데 자신이 일조를 해서 돈을 벌겠다는 꿈에 부풀어서...
성경을 재해석해 모독하고 있는 듯한 기분이 느껴지는 책이었는데,기독교 신자도 아닌 내가 불쾌할 정도었으니 기독교 국가에선 어떻게 받아 들여 졌을지가 궁금한 부분이다.
즉,예수와 성경과 기독교에 대한 조롱처럼 들리는 책이었다.하지만 그건 뭐 봐줄 수 있다. 내가 독실한 신자도 아니고 말야.
내가 봐줄 수 없는 것은 예수에 대한 몰이해였다.
평범이 작가가 상상하는 예수는 평범이에서 벗어나질 못했다.
예수를 그저 순진해서 제사장들이 하는 말이라면 다 믿는 꼬마로,그래서 교회를 벗어나지 못하는 아이로 묘사를 하던데,아이라고 무조건 멍청하다는 자체가 오산이다.
또 단식 중 그에게 음식을 주려는 사람들을 마귀로 모는 등 예수를 정신분열증세를 앓고 있는 사람으로 그리는 것도 맘에 안 들었다.
천재들의 내면은 보통 사람들과는 다르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끊임없이 생각하고 그 길로 이끌기 때문이다.
그것은 인간의 힘이라도 가능하다.신의 힘이 개입되지 않는다 해도 말이다.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이 작가가 몰이해가 우스웠다.
거기에 그는 예수를 무능한 사람이지만,어쩌다 신이 내린 계시를 전달하게된 말 전달자로 전락시킨다.예수가 가진 인간에 대한 사랑은 무시를 한 채...
인간에 대한 사랑은 어디 신만이 가능한 것인가?
인간이 다른 모든 인간들을 사랑한다는 메시지를 생각해 내서 전파한다는게 ,그것이 그의 머리 속에서 나온 생각이라는것이 이 작가는 안 믿겨지는 모양이었다.
자신 만을 생각하지 않는 인간을 상상하는게 그렇게도 어려운가 ? 하는 씁쓸함이 들었다.
예수는 진정한 천재로 ,인간이 대한 사랑의 지평을 넓힌 사람이었다는게 내 생각이다.
가끔씩 인간종들도 그런 인간을 만들어 낸다.신이 아니라도...
이 책에 대해 역자는 '새로운 시야가 열린 듯한 느낌이었다'고 쓰고 있던데,진짜로 그런 느낌이셨을지 의문이다.
글은 빠르게 읽히고 번역은 우수했다.그것이 이 책의 유일한 장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