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이러 갑니다
가쿠타 미쓰요 지음, 송현수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07년 1월
평점 :
절판

비장한 각오로 누군가를 죽이러 나섰지만 강아지조차 죽이지 못하는 소시민들의 일상을 옴니버스 형식으로 쓴 소설이다.
표지가 책의 내용을 요약해서 잘 보여 주고 있다.
못 견딜 만큼 미운 누군가가 생겼다.
그리고 그것은 그가 혹은 그녀가 불행하길 비는 것을 넘어서 이 세상에 존재하지 말아야 한다는것으로 비약을 한다.
분에 못 이긴 나머지 살인을 꿈꾸고 계획도 하지만 그들은 그저 소심한 사람들.
결국 상대에게 미안하다고 맘에도 없는 말을 하고 뒤돌아서는 사람들에 불과하다.
일본 작가의 책이니 내가 기대를 하고 봤다고 하면 거짓말이고 그래도 여지껏 내가 읽었던 일본 소설보단 낫기를 바라면서 읽어 내려갔다.
글 하나는 탄탄하다.
그러나 그 외의 것들은 별로 였다.
1.우선, 일본 사람들은 섬나라 사람들이라서 그런지 미시적인 것에 치중하는 사람들이란 것과 정상적이라고 할만한 사람들이 소설속에 거의 등장을 안 한다는 것을 다시 깨닫게 해줬다.
사소하고 소소한 것들에 목매다는 사람들.
자신의 아이가 너무 귀여워 죽이고 싶다는 여자(죽이러 갑니다) ,부부 싸움 뒤 남편이 죽기를 바랐다가 정말로 죽자 죄책감에 시달리는 여자(스위트 칠리 소스) 바람 피운 벌로 자신을 집안에 앉힌 아내를 증오하는 남자(하늘을 도는 관람차) 말도 없이 자신의 아이를 낙태를 한 전 여자친구를 스토킹하는 남자(맑은 날 개를 태우고) 그리고 어린시절 자신에게 잘못한 사람들에 대한 증오로 인생을 망치는 여자(우리의 도망) 등 여기 나오는 사람들의 살의의 원인은 스쳐간다해도 무방한 감정들이다.
살면서 별로 험한 일을 안 당하고 살았는지, 아님 남에게 민폐를 끼치느니 죽는게 낫다는 민족 감수성이 있어서 자신에게 못한 것들은 두고 두고 용서를 할 수가 없는 것인지,인생이 한가해 미움만 곱씹고 살게 되서 그런지는 모르지만 읽고 있다보니 내 자신이 한심했다.
인생에 더 끔찍한 일들을 당하며 사는 사람들도 부지기수다.
앞서가는 사람이 길을 빨리 비켜주지 않는 것에 살의를 느낀다고 뭐 어쩌라 말인가?
어머, 그러셨어요? 확 죽여 버리지 그러셨어요? 라고 대꾸를 하란 말인가?
2.이 작가의 책들엔 주인공들이 여럿임에도 다 한결같다는 치명적인 결함이 있는데 이 책도 마찬가지 였다.
남자건 여자건 나이가 많건 적건 간에 예민하고 상처 잘 받고 내성적이고 의뭉스러우며 살의를 맘 속에 담고 살아 간다는 것들이.
더군다나 작품속에 등장하는 남자들은 다 여자같다.
남자들은 여자처럼 생각하지 않는다.
남자처럼 생각할 자신이 없다면 남자 주인공을 빼는 것이 나을 거라고 누군가 작가에게 말 좀 해주면 좋겠다.
3.살의를 느꼈고, 실행도 생각했지만 아무것도 못했더라, 그것이 바로 소심한 우리다?
작가는 증오의 감정안에 우리자신을 가두고 살면 안된다는 말을 하고 싶었던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문젠 난 그게 별로 알고 싶지 않다는 것이다.
우린 정체되어 있는 사람들이 아니다.
언제나 움직이고 생각하며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남에게 상처를 받고 또 그만큼 남에게 상처를 주기도 하면서 살아 나간다.
하나의 살의에 목 매달고 살아갈 만큼 우리의 삶은 초라하지 않다.
우리의 삶을 축소 시키고,살아 나간다는 것이 공허하고 기만적이며 ,대개의 인간들이 꽁하고 외골수며 자페아처럼 살아 간다고 보게 하는 책.
인생의 가능성이 아니라 찰나적이고 패쇄적인 장면만을 되풀이해서 보여주는 글들.
보는 것만으로도 긷힌듯한 기분이 들었다.
<잘 자, 나쁜 꿈 꾸지 말고>가 원제다.
확신컨대 이 책을 읽고나서 즐거운 꿈을 꾸긴 어렵지 않을까 싶다.
다른 일본 책에 비하면 그닥 나쁘진 않았지만, 개인적으로는 이런 일본책은 이제 그만 번역이 되었음 좋겠는게 내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