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도의 노래 1 - 도도가 들려주는 자연의 생존과 종말 이야기 ㅣ 김영사 모던&클래식
데이비드 쾀멘 지음, 이충호 옮김 / 푸른숲 / 199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에 나오는 멸종된 새 도도 이야기중 하나.
그 새는 얼마나 잡기 쉬운지 한 놈을 잡아놓기만 하면 그놈이 질러 대는 소리를 듣고 다른 도도새들이 동료를 구한다고 우르르 몰려 나오는 것을 줍기만 하면 됐단다.
그 이야기를 읽으면서 " 멍청하긴" 하면 하하 겉으로 웃긴 했지만 속으로는 어째 그 새가 날 닮았다는 생각에 은근히 켕기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
그래서일까? 1600년대에 이미 몽조리 저 세상으로 가버렸다는 이 새가 짠하게 다가온다.
나야 그저 인간으로 태어난 이유로 아직 멸종이 안 되었지만, 몇 백년전 모리셔스 섬에서 살찌고 날개도 없으며 깃털이라고는 달랑 장식으로 몇개 달고서 새라고 빡빡 우기는 도도였다면 ,필시 나도 그 우르르중 하나였을 것이 분명하니 말이다.
그런데 우린 인간은 도도와 다르게 행동을 할까?
만약 어느날 외계인이 우리 가족들을 잡아 가려 한다면 우리도 우르르 달려들지 않겠나 말이다.
이 책은 독자에게 멸종이 되가고 있는 동물들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기 위해 쓴 책이다.
이렇게 말하면 재미 없을 것 같지만,이 책의 기묘하고도 엉뚱한 점은 무지하게 재밌다는 것이다.
사실 우린 살아 가는 것만도 벅찬 인생들이라, 다른 종들이 멸종되어 가는 것까지 신경을 쓸 여유가 없는 게 보통이다.하지만, 생이 좀 뻑뻑하다고 한 들 우리가 이 지구에 혼자만 살 수는 없는거 아니겠는가?
뭔가 멸종 되가고 있다거나,희귀종이 되었다고 하면 관심이 생기면서 "더 열심히 살아봐" 하고 맘속으로 응원 정도는 하는 것이 인지 상정! 감상일 뿐일수도 있다는 것은 안다.
그런데 다행히도 이 작가가 발로 세계 여기 저기를 열심히 뛰어 다니고 피나게 공부를 해서 멸종의 메카니즘에 대해 이성적으로 들려주고 있으니 감상뿐인 우리들은 그저 듣기만 하면 된다.
더군다나 이 작가는 얼마나 글을 잘 쓰던지 내가 읽고 있는 것이 멸종에 관한 심각하고 지루하며 복잡한 이야기라는 느낌이 전혀 없었다.
책을 읽은 기념으로 멸종의 메카니즘을 간략히 서술한다면.
멸종이 되는 종들의 90%가 섬에서 산다고 한다.
그들은 개체수도 적지만, 작은 평수에서 복작대며 살다보니 자칫 조그만 충격에도 회복을 못한 채 멸종의 길을 걷는다는 것이다.그러니 그들이 희귀종이 되기 전에 신경을 써야지 희귀종이 되고 나면 이미 멸종으로 들어섰다고 보면 된단다.
감탄스러운 것은 이 작가는 그 이야기를 하기 위해서 다윈을 위시해 많은 과학자들과 논문들과 일화들을 시의적절하게 교묘히 접목해 들려 주고 있다는 것이다.
한결 같이 재미나고 매혹적이며 흥미 진진하게 풀어내는 통에,어려운 논문이나 ,멸종이 되어 버린 동물을 찾아 오지로 떠난 이야기나, 그가 만난 미친 과학자들이나 다 귀가 솔깃했다.
어디서나 뭔가 흥미롭거나 이면을 것들을 감지하고 잡아 내는 천부적인 저널리스트의 눈을 가진 작가이고 보니 그냥 그를 따라 가기만 하면 된다는 편리함이 있었다.
재미 있게 읽었다.책장을 덮고 나니 별로 기억이 나는 것이 없긴 했지만, 그건 아마도 (인정하긴 싫지만) 내 탓일 것이다.멸종에 대해 내가 강조를 해봤자 별로 대세에 영향을 미칠 것 같지 않아서 그것에 대해서도 조용히 넘어가겠다.혹시 다양한 동물에 관한 지성적이고 재밌으며 매혹적인 책을 읽고 싶다,라는 충동이 드신다면 한번 읽어 보시길.
1권만 읽으셔도 좋다.2권은 약간 지루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