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르헤스와 불멸의 오랑우탄
루이스 페르난두 베리시무 지음, 김라합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1월
평점 :
절판



밀실 살인의 고전으로 살인범을 잡고 보니 오랑우탄이었다는 에드가 알란 포의 <모르가그의 살인사건>이 모티브로 나오는 추리 소설이다.

학회에 세계의 전문가들이 모여들고,얄미운 사람이 등장해 모두의 미움을 사더니 여지없이 살해된다. V 자 형태로 몸을 꺽고 죽은 그의 시신을 최초로 목격한  화자는 살인의 미스테리를 풀고자 동분서주한다.평소 존경하옵던 보르헤스와 함께.

아이처럼 칼잡이와 추리소설과 단도와 미로와 거울을 좋아했던 보르헤스.

그는 모처럼 맞은 살인게임을 풀 기회에 신나 하면서 단서들을 해독하는데,밀실된 방에서 어떻게 살인자는 사라질 수 있었을까를 두고 포의 소설에 등장하는 <불멸의 오랑우탄>을 떠올려 보지만 그곳은 오랑우탄도 침투가 어려운 호텔 7층! 과연 범인은 누구?

 

좀 재밌다고 해서 기대를 하고 본 책인데 별로였다.

보르헤스를 존경해마지 않는 작가에 의해 그의 흔적이나마(가상이지만) 볼 수 있었다는 것과 그를 좋아해서 작품에 넣고 싶어하는 작가가 있다는 사실은 흐믓했었지만서도. 

추리 소설작가들과 작품들이 대거 등장해서 살인범을 은근히 가리켜주는 소설이었다.-FINGER POINTING--제래요!하고.

많은 독자들은 살인범을 알아내지 못한 것에 헛점을 찔렸다고 할 지도 모르겠지만

보르헤스가 알아낸 살인범을 보면서 드는 생각은 이건 짜고 치는 고스톱처럼 누구를 지명하건 " 애가 살인범"이라고 하면 그랬었구나 할 수밖엔 없겠다는 허무함이었다.

작가가 상상하는 머리속을 들여다 볼 수 없는 다음에야 누가 살인범으로 찍힐 지 알겠는가?

아무래도 내가 CSI를 너무 열심히 들여다 본 모양이다.

증거가 아닌 심증과 상상력만으로 범인을 잡는것으론 이젠 성에 안 차니...

심심했고 아귀가 딱딱 맞는 듯한 기분이 안 들었다.

증거를 주세요,내 그럼 믿어 드리리다.

 

<결론--읽거나 안 읽거나 사는덴 전혀 지장이 없는, 지적인 두뇌 플레이를 할 듯 분위기만 잡다 결론은 허무하게  내려지는, 반내림해 삼류인 추리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