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레의 모든 기록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조구호 옮김 / 간디서원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백년간의 고독"으로 유명한 마르케스의 작품이다.

물론 그의 저 유명한 작품이 그가 글을 잘 쓴다는 걸 보장하고 있다고 해도 ,이 책에서 다시 한번 그의 명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피노체트.칠레의 군부 독재자,그가 쿠데타로 장악한 칠레에서 가까스로 탈출해 망명자로 생활하던 영화감독 미겔 라틴은, 그가 칠레를 떠난 지 12년이 지났을 때 변장을 하고 자신이 꿈에 그리던 고국에 잠임해 영화를 찍겠다는 생각을 행동으로 옮긴다.

그리고 6주의 마음 졸이는 시간을 보낸 뒤 그는 무사히 촬영을 마치고 칠레를 벗어나 "칠레의 모든 기록"이라는 영화를 만들었고, 이 책은 그 당시의 일들을 라틴 본인의 입을 통해 취재한 것을 마르케스가 다시 재구성을 해 쓴것이다.

마르케스가 대단하다는건 마치 그가 라틴인 듯 모든 정황들을 실감나게 그려냈기 때문이다.

대단한 상상력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었다.어떻게 남이 겪은 일들을 자신이 겪은 것처럼 써낼 수 있는지 혀를 내두른다.

칠레의 상황을 생각하면 읽기 고역인 사건들로 첨철되어 있겠다는 생각은 전혀 기우였다.
차라리 재밌는 첩보영화 정도? 실제 일어난 일들이기에 더 재밌는.

나오는 사람들의 면면들도 다 현실적이고 존경스러워서 ,인간이란 종이 다 그렇게 나쁘지만은 않다는 말이지 하는 생각에 흐믓했다.

특히,칠레 최상류층의 한 70대의 할머니는 무료하게 tv나 보고 있는 거보단 첩보영화에 나오는 것처럼 임무를 가지고 일하는 것에 매우 즐거워했다는데, 처음 도와달라고 청하며 사람을 알아봐달라고 하자, 실망하셨다고 한다.

폭탄을 옮기는 것 정도를 기대하셨다나?

재밌다.이젠 칠레도 이 영화가 촬영되었을 때(85년)보단 나아졌을 것이라는 생각이 드니 마음도 놓이지만,아직도  피노체트는 여전히 잘 살고 있다는 것이(아직 죽었다는 소린 못들은 듯한데) 세상에 정의란게 존재하기는 하는 걸까 하는 생각을 들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