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의 세 가지 거짓말 - 중 - 타인의 증거
아고타 크리스토프 지음, 용경식 옮김 / 까치 / 199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안 읽을래,하다 그래도 끝을 봐야지 하며 집어 들었다.그런데 안 읽었더라면 후회할 뻔했다.

작가가 이야기를 구성하고 엮어내려가는 것들이 특이하고, 신선하다.

아마 독창성이란 면에선(승리의) 두 손을 들어주어야 할 것 같다.

 줄거리는, 서로 분리해 각자 자신의 길을 가기로 결정하고 국경 분리대에서 헤어진 쌍둥이들 중 남기로 결정한 루카스로 부터 시작한다.
그는 형제와 헤어졌다는 상실감에 가슴앓이를 하지만 ,곧 이웃의 사람들을 돌보며 정신을 차려 나간다.

근친상간으로 아들을 낳은 여자와 그녀의 아들 마티아스를 받아 들이고, 도서관의 사서의 애인도 되며, 어릴때부터 문방구를 사던 서점을 인수해 장사를 하던 그는 아들처럼 키우던 마티아스가 질투와 절망으로 자살하고 ,그가 죽인 마티아스의 엄마의 시체가 발견되자 사라지는데...

 줄거리가 어땠다기보단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작가의 역량에 더 무게를 두고 보아야 하는 책이 아닌가 한다.
군더더기 없이, 별로 힘들이지도 않고 세상의 모든 악들을 잘 묘사하고 있다.
감정적인 동요나 악을 고발하겠다는 사명감도 없이 말이다, 소설속의 쌍둥이 형제의 성격과 너무도 닮은 서술 방식이다.옳으니 그르니 판단하는데 에너지를 쏟기보단 그저 현실을 그대로 받아들인다고나 할까?
고로 굉장히 받아들이기 힘든 일들도--살인, 근친상간, 고문, 유아 성학대등등--그저 일상중 하나인 것처럼 스르르 지나가고, 그것이 오히려 호들갑을 떨어대며 감정과잉과 동감을 요구하는 책들보다 설득력이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새롭다.잘 짜여진 소설이고, 감정 억제가 잘 되어 있다는 것이 ,여성 작가가 쓴 것이라고는 믿겨지지 않을만큼 대단했다.
오히려 쿤테라보다 난 이 작가가 더 나은 듯 보었다.물론 양 작가의 책을 읽어본게 별로 없어서 이런 단순 비교를 하기엔 무리긴 하지만.

나머지 책도 읽어볼 생각이다.

 문득 들은 생각인데, 이 작가가 어쩜 사방트인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천재 자폐아.왜냐면 쌍둥이들의 행동양식들이, 자페아들이 자신들을 묘사하고 사회에 적응해 나가는 방식과 유사하다고 느꼈기 때문이다.그렇다면 이 글의 전개 방식과 묘사 과정을 그려낸 것들이 충분히 납득이 된다는 생각이 드는데,사실일지는 글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