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의 헤밍웨이
힐러리 헤밍웨이.칼린 브레넌 지음, 황정아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06년 2월
평점 :
절판


 
제목 그대로 헤밍웨이가 쿠바에서 보낸 시간들을 재구성해 보여주고 있는 책이다.

개인적으로 아직 헤밍웨이에 대한 견해를 마무리짓지 못한 상태라--열광을 해야 할 지, 아니면 무관심해야 할 지--덤덤하게 이 책을 집어들었지만 ,만일 내가 헤밍웨이의 팬이라면 당연히 반색을 했을 그런 책이다.

우연히 들른 쿠바에서 새치잡이를 해보고 난뒤 그곳에서 자리를 잡은 헤밍웨이는,시대의 모험가라는 명성에 걸맞게 조금은 남들과 다른 삶을 살았고,그런 그의 삶을 엿보는 것도 그런대로 재밌었다.

2차대전때 독일 잠수함을 잡는다면서 쿠바해역을 돌아다녔다는 일화나(본인은 몹시 심각하게 임했을 지 모르지만, 읽는 나로써는 남자 아이들이 인디언 놀이를 하는게 연상이 되더라)

그의 2번째 아내로부터 3번째, 4번째 아내에 이르기까지...그리고 덤으로 다른 애인들까지 면면들을 한꺼번에 줄줄이 들여다 보니 웬지 헤밍웨이에 대해 뭔가 아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인생을 재미를 쫓아서 살았던 사람임에는 틀림없는 듯하다.

하지만 이 책에서 내가 가장 인상적으로 본 것은 카스트로가 헤밍웨이에 대해 연설한 것을 읽을 때였다.그 전 조금 지루한 것들을 그럭 저럭 읽어 치우다가 카스트로의 연설을 읽으니 눈이 팍 하고 떠지는 기분이 들었다.

확실히...카스트로는 뭔가가 있는 사람에 틀림없다.그렇게 말을 잘하다니...(어쩜 남이 대필해 준것을 읽었을 수도 있지만...그런 사람을 고용한 안목만으로도 점수를 줄만하다.)

 <".... 그의 작품에서 무얼 가장 좋아하느냐고 묻는다면 나는 사실상 그의 모든 작품에 들어 있는 독백을 꼽겠습니다.그 중에서도 단연 뛰어난 것은 홀로 바다에서 가기 자신에게 말을 하며 명상하고 삶을 반추하며 꿈꾸고 싸우는 ,그리고 노고 끝에그저 큰 고기의 잔해만 남은 한 사내에 관한 짧은 이야기 '노인과 바다" 입니다.....

나는 헤밍웨이를 만날 기회가 거의 없었습니다.하지만 1959년 헤밍웨이의 새치 낚시대회에 초대를 받았고, 거기에 그가 있었읍니다.사흘 후 어쩌다가 내가 엄청난 새치를 낚게 되어 일등상을 받았지요.누군가 나를 위해 내 낚싯바늘에 고기를걸어둔 거라고 의심할 수도 있겠지만 그건 아니였읍니다...">라고 말하는 카스트로,사람들이 그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것도 당연했다.

경청할 만한 말을 하니 말이다...

하지만 아쉬움도 남는 그런 책이었다.

더 잘 썼다면 ,보다 더 통찰력있는 책이 될 수도 있었을 텐데 하는 아쉬움 말이다.아무리 헤밍웨이의 조카라 해도 헤밍웨이는 아니니...어쩜 그런 글을 바란다는 자체가 우스운 일일까?

쉽게 읽히지만 헤밍웨이 일화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 흠이다.헤밍웨이의 내면에 대해 알고 싶다시면 실망하실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