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션들 보르헤스 전집 2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황병하 옮김 / 민음사 / 199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눈이 휘둥그레졌다.와우...이렇게도 글을 쓸 수 있는거 였어?
나도 이렇게 써볼래!!!
장미빛 미래가 전개되는 듯했다.
보르헤스의 혜안 대로 문학가의 진정한 행복은 창조성에 있는 것이고 ,그 외의 사람들을 그 창조성의 모방자나 수혜자에 불과 하다면, 이 책은 바로 창조성의 산물이다.
따라하기 쉬워 보이나 절대 따라갈 수 없는 것 .
고로,책을 손에서 놓자 마자 그 장미빛 미래는 날아가 버리고 없었다.

 2.아름답고 우아한 문체와 어디로 튈지 모르는 상상력,신화를 읽는 듯한 초현실주의,--다른 말로 하면 현실에선 볼 수 없지만 딱 어딘가 존재하는 세계를 묘사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가지게 하는--횡설수설하는 듯하면서  정신을 번쩍 들게하는 통찰력.길을 잃는 듯 보이면서도 그것이 모두 복선이었다는 깜찍한 독자들에 대한 조롱, 정확하게 객관적으로 자신을 파악하는 지성, 세계의 흐름과 과거를 읽어 내는 눈,사람의 심리를 꿰뚫어보는 천재성,그 외에 이 세상 모든 책들이 지루하다는 듯이 새로운 세계를 창조해내는 참신성까지...
멋졌다.
대단하다는 말은 이 책엔 안 어울린다.
왜냐면 작가가 그걸 원하는 사람이 아니란 생각이 들어서다.
영광이나 찬사를 듣기 위해 책을 쓰는 작가가 아니었다.
현실 감각이,허영기 없는 겸손이, 과시하지 않는 지성이,조용한 성실성이 그것을 막았으리라.

 3. 도대체 이 작자는 (보르헤스를 의미) 얼마나 책을 읽어댄거야?
이건 비명이다.책 속에서 파묻혀 산 사람이 아니라면 절대 이런 책이 나올 수가 없기 때문이다.
실존하는 책들과 역사,사람들 ,작가들, 신화들, 종교들이 그가 만들어낸 가짜들과 공존한다.
얼마나 마감질이 잘 되었는지 어느것이 진짜이고 어느것이 가짜인지 구분이 불가능하다.
가능하다 해도 별로 의미가 없다.그냥 구렁이 담 넘어가듯 신나게 읽어 제끼는 수밖엔.
거짓말도 이 정도면 신의 경지다.기가 막히고 혀를 내둘렀다.
이렇게도  뻔한 거짓말을 천연덕스럽게 하다니.게다가 고급스럽기까지 하다!
최곱니다요...보르헤스 아저씨.
Two Thumbs UP이여요!!!

 4.줄거리는 생략한다.단편들이 장편처럼 읽히고,횡설 수설이 지나쳐서 이치에 맞지 않는 듯도 보이며,가다 보면 무슨 말을 하고 있었던 거였더라는 단기 망각증도 예상 되는 책이다.
다 읽고 나면 뭘 읽었는지 생각이 안 나는 수도 왕왕 보고되지 않을까 한다.
누구에게나 강추하긴 어려운 책이다.
하지만 인간의 상상력이 만들어내는 창조력의 한계가 어디까지인가 알고 싶다면 한번 읽어 보시라고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