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미친 사내의 고백 모중석 스릴러 클럽 7
존 카첸바크 지음, 이원경 옮김 / 비채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바닷새 ,바닷새,바닷새."그가  한마디  한마디 고개를 저으

    며 말했다. "넌 외톨이인 적이 없어.">

 지극히 정상이지만 감옥에 가기 싫어 미친 척 하고 정신 병원에 눌러 있는 전직 소방관 피터.

정상인처럼 살아 가는 것이 소원이지만  끊임 없이 들려오는 내면의 소리때문에 정신병원에 수용되어 있는 정신 분열증 환자 ,바닷새 프란시스.

대학 시절  강간범에게 젊음과 행복과 미모와 순수를 빼앗겨 버린 여검사 루시.

어느날 피터와 프랜시스가 수용된 정신 병원에서 손가락 넷이 잘려 나간 채 살해된 백인 간호사가 발견 되자, 그것이 연쇄 살인범의 표식임을 직감한 루시는 정신 병원으로 달려 온다.

살인범으로 지목된 꺽다리는 그날 밤 천사가 다녀 갔다는 말만 되풀이 하고,그가 범인일 리 없다고  확신 한 피터와 프랜시스는 루시의 도움 요청을 받아 들이는데...

성추행을 일삼는 신부를 응징하려다 엉겁결에 살인자가 되버린 피터,강간을 당한 것에 대한 복수로 강간범을 잡는 검사가 되었지만,그 과거로부터 결코 자유롭지 못한  루시.자신을 괴롭히던  광기가 정상인이 감지할 수 없는 살인범의 광기를 이해하는 열쇠라는 것을 깨닫고 두려움에 떠는 소심한 프랜시스,과연 이 세 사람의 "천사"를 찾기 위한 모험을 어떻게 끝이 날것인가?

그들이 실마리를 파악하지 못해  헤매고 있는 가운데 시체는 쌓여 가는데...

 

오랜만에 보는 잘 쓴 스릴러물이다.

탄탄한 구성,실제로 미친 사람의 내면을 보는 듯한 착각이 들게 한 정도로 설득력있는 심리 묘사,살인범을 쫓는 사람들의 흥미로운 과거와 그들의 우정과 용기,손에 잡힐 듯한 생생한 정신 병원의 황량함이 정신 병원 수용자들의 면면들과 더불어 팽팽한 긴장감을 유지한 채 유려하게 서술되고 있었다.

글이 워낙 막힘이 없어서 힘 하나 안 들이고 쓴 것 처럼 느껴질 정도다.

살인자의 내면 보단 살인범을 잡는 사람들의 이야기들로 흥미로웠던 소설.

영화로도 만들어 진다는데 원작이 탄탄하니 재밌을 것 같다.

스릴러를 좋아하시는 분들에겐 강추.

언뜻 "뻐꾸기 둥지위로 날아간 새"가 연상이 되기도 하지만 그것 보다는 덜 철학적이고 덜 비관적이며 덜 문학적이다.

 

<여담> 어제  CSI 라스베가스를 보았다.

30년에 걸쳐 갈 곳 없는 4명의 젊은 여자들을 강간하고 죽인 연쇄살인범을 잡는 것이었는데,마지막 장면이 피 흘리는 장면이 아님에도 섬뜩했다.

60이 넘는 치과의사인 범인에게  본인이 죽인 '제인 도우'(살해된 신원 미상의 여자에게 붙이는 이름)들의 이름을 알려 달라고 부탁을 하자 ,그 늙은이는 설핏한 미소를 지으면 이렇게 말한다.

"난 내가 잡혔다는 것엔 실망 했지만, 살인 한걸 잘못했다고 생각하진  않는다네,난 그것을 언제나 즐겼거든"이라면서 자신은 평생 복 받은 삶을 살아 왔으니 이제 사형을 당한다 해도 별로 억울하지 않는다면서 알려주기를 거부한다.

그걸 보면서 어쩌면 우리가 만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악은 바로 저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죄책감 없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