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얼굴을 찾을 때까지 ㅣ 믿음의 글들 240
클라이브 스테이플즈 루이스 지음, 강유나 옮김 / 홍성사 / 200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프시케의 신화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c.s.루이스의 작품이다.
본질적으로 "사랑"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작가의 평생에 걸친 분석이 담겨져 있는 책이다.
왕의 첫째 딸로 못생겼지만 똑똑한 마야는 여우 선생이란 그리스 노예로부터 지식와 이성적으로 사고하는 방식을 배운다.
왕은 재혼을 해서 셋째 딸인 프시케를 얻지만, 아들이 아니란 이유로 관심 밖으로 내쳐지고,할 수 없이 마야가 엄마처럼 그녀를 키우게 된다.
프시케의 남다른 미모와 기품,그리고 남을 배려하는 성품은 곧 다른 이들의 사랑과 주목을 받고, 그것을 시기한 둘째딸과 사제들은 모략을 꾸며서 그녀를 산제물로 신에게 바쳐지도록 하는데..
프시케의 신화와 루이스의 다른 점은 신화에서는 두 언니가 질투로 인해 프시케를 파멸로 이꾼다면, 이 책에선 너무도 사랑한 나머지 그녀를 지키려다 파멸로 이끈다는 점이다.
루이스가 하고자 하는 말은 사람들은 사랑으로 산다는 말을 하려는 것이 아닌가 한다.
사랑을 얻기 위한 것이건, 사랑을 지키기 위한 것이건 말이다.
그러나 사랑을 위해 우리가 하는 희생이나 배려가 오히려 그들을 고통과 파멸, 외로움으로 몰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면서 ,루이스는 말한다.
자신이 누구인지 조차 모르는 인간이 어떻게 사랑을 이해한단 말인가 라고.
사람들의 모든 행동 뒤에는 바로 사랑을 향한 무궁 무진한 욕구가 숨어 있다고 통찰한 그는,그런 면에서 보면 그 누구도 열등하지도 우월하지도 못되지도 불쌍한 것도 아니라고 한다.
기본적으로 인간은 선하단 전제에서 그는 사랑을 위해 무슨 일이든지 하는 사람들을 불쌍히 여기고, 그들의 고통을 감싸고 이해할 것을 당부한다.
그것이 불완전한 우리 인간들이 다른 인간에게 해야 하는 일이라면서 말이다.
어쨌거나 우린 신은 아니지 않는가 ...
루이스에 대한 나의 애정은 좀 설명하기 복잡하다.
그는 언제나 날 기분좋게 놀라게 하는 사람인데, 반세기 전의 사람이 영혼에 대해 생각을 했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어떻게 영혼에 관심을 가지고, 느꼈으며, 확신을 가졌고 ,영혼의 성장이란 것을 인지하고 있었을까 하는 것들이 그를 대할 때마다 신기하게 여겨지는 부분이다.
그는 어떻게 그것을 알고 있었을까.
단지 알고 있었던 것이 아니라 그걸 논리적으로 글로 써서 남을 설득할 줄 알았던 사람.
혁명은 믿어도 영혼은 믿지 않는 사람들을 상대로 말이다.
그가 믿었던 것들과 통찰했던 것들에 대해 신념을 굽히지 않았던 사람인 루이스.
이 책은 기독교 적인 색채가 나긴 하나 기본적으로는 사랑에 대한 고찰로 그가 겸허하게 인간에게 눈 높이를 낮춰서 바라본 사랑의 모습들이 담겨져 있다.
난 그런 그가 여전히 좋다.
하지만 아마도 그런 그를 이해하려는 사람이 별로 없을 것이란 생각에 추천애매작으로 넣는다.
루이스를 좋아하지도 그가 누군지도 모르는 사람은 이 책을 관심 밖으로 두는 것이 낫다는 걸 알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