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련님 현암사 나쓰메 소세키 소설 전집 2
나쓰메 소세키 지음, 송태욱 옮김 / 현암사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련님 ㅣ 나쓰메 소세키 ㅣ 송태욱 옮김 ㅣ 현암사





"생각해보니 세상 사람들 대부분은 타락하는 걸 부추기고 있는 것 같다.

타락하지 않으면 사회에서 성공하지 못한다고 믿고있다.

이따금 순수하고 정직한 사람을 보면 '도련님'이니 '애송이'니 하면서 

트집을 잡고 경멸한다."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앞뒤 가리지 않는 성격 때문에 어렸을 때부터 손해만 봐왔다고 시작되는 이야기. 도련님은 어릴 적 말썽도 피우고 앞뒤 가리지 않는 성격으로 다치기도 하고 부모님께 핀잔을 들으며 자랐다.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 재산을 정리해 형은 떠났고 주인공은 진학하고 졸업 후에도 집에 남아 있던 하녀인 기요를 남겨둔 채 멀리 떨어진 곳의 중학교 수학교사로 부임한다. 좁은 시골의 중학교여서일까 학생들은 주인공의 일거수일투족을 트집 잡고 선생으로서 수모를 느낄 만큼 학생들은 주인공을 궁지로 몰아넣는다. 주인공은 이 수난을 어떻게 해결할까?




어릴 적 주인공은 심한 말썽쟁이였는데 아버지에게 의절을 선언 받기도 할 정도였다. 그런 그에게도 '대쪽처럼 곧고 좋은 성격'이라고 칭찬해 주는 사람이 있었는데 바로 하녀 기요 할멈이다. 기요 할멈에게 주인공이 손주처럼 느껴져셔인지 아니면 오랜 세월을 살아 인간의 성장에 대한 넓은 식견을 가지고 있어서인지 기요는 주인공에게 '욕심이 없어서 마음이 깨끗하다'고도 하고 평소에 '될 거다, 될 거다'하고 늘 믿음과 사랑을 주었다. 이 대목에서는 참 생각이 많아졌다. 사람은 사랑과 믿음을 받을 때 안정되고 자존감이 높아진다. 그래서 옛날 어르신들은 늘 자식들에게 '꼭 훌륭한 사람이 될 거다'라며 교육하셨다. 바로 기요 할멈의 교육과 같다.



그래서일까? 주인공은 대쪽같고 욕심도 없고 성격이 곧다. 중학교 교사로 부임한 주인공은 자신의 이익을 챙길 줄도 모르고 할 말은 한다. 그러다 보니 윗사람들에게 예쁘게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자신의 대쪽같은 성격으로 자신과 뜻이 맞는 다른 교사와의 합작으로 거사(?)를 치르기도 한다. 좌충우돌 교사 입문기를 통해 주인공의 성격은 더욱 굳어진 듯하다. 학교에는 여러 선생들이 있는데 모두 다양한 캐릭터들이다. 주인공이 재미나게 그들의 캐릭터를 살려 별명을 짓는데 네이밍의 천재다. 별명을 통해 떠올리는 여러 인물들과 그 인물들이 그려내는 사건들은 은근 주인공이 이런 상황을 어떻게 해결해 나갈지 궁금증을 자아낸다.



나쓰메 소세키는 일본을 대표하는 작가다. 그와는 처음 만남인데 일본 작품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나는 순전히 그의 명성 때문에 <도련님>을 읽게 되었다. 일본인의 디테일한 감정선을 대하기가 불편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감정선들은 <도련님> 안에서 각 캐릭터들을 독자가 느끼기에 분명한 뚜렷함으로 다가와 상황 파악이 쉬워진다. 그리고 그러한 캐릭터들이 지금 현대에도 존재하는 캐릭터들이라서 주인공이 학교에 부임하고 겪는 이야기들이 전혀 옛날의 이야기처럼 느껴지지가 않는다는 점에서 시대적 이질감이 없다. 어쩌면 슬프기도 한 것일 터다. 인간의 마음은 결코 한치의 발전도 없었다는 것일 테니.



도련님은 기요 할멈이 부르는 호칭인데, 기요 할멈 입장에서는 당연히 주인공을 도련님이라고 불러야겠지만 작가가 제목을 '도련님'이라고 한 것은 바로 주인공이 부모에게 의절을 선언 받을 정도의 말썽쟁이였지만 대쪽같고 정직하고 욕심 없는 것이 바로 우리에게 필요한 덕목임을 강조하려 한 듯하다. <도련님>속 도련님은 세상과 타협할 줄 모르고 고집스럽게 자신의 생각을 밀고 나간다. 1906년도 작품인 <도련님>은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지 않고 세상과의 타협점을 찾지도 않는 그야말로 대쪽같은 인물. 현재 우리 정치계에서 필요한 인물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자신의 이야기를 회상해 이야기해주는 듯한 <도련님>은 큰 흥분은 없다. 그럼에도 작가의 <나는 고양이로소이다>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