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으로의 긴 여로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9
유진 오닐 지음, 민승남 옮김 / 민음사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밤으로의 긴 여로 I 유진 오닐 I 민승남 옮김 I 민음사




"운명은 우리가 미처 깨닫지 못하는 사이에 손을 써서

우리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과는 거리가 먼 일들을 하게 만들지."




유진 오닐의 <밤으로의 긴 여로>는 상당히 궁금했던 이야기였는데 읽으면서 안타까움이 컸던 작품이다. 바로 유진 오닐의 비극적인 개인사를 다룬 작품이기 때문이다. <밤으로의 긴 여로>는 스토리라고 할 게 없지만 가족사이므로 민감한 부분이란 점에서 작가로서는 쉽지 않은 글쓰기 작업이었을 듯하다. 유진 오닐이 죽기 직전에 쓰면서 당시 울기도 하고 많이 힘들어했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힘든 과거를 떠올리며 슬픔을 마주하는 일, 특히나 가족사라고 한다면 자신의 치부를 들여다보는 과정이기도 하고 그것을 세상에 내놓는 일이니 얼마나 힘들었을까 싶다. 그래서 그는 부인에게 이런 헌정사를 남겼다. "내 묵은 슬픔을 눈물로, 피로 쓴 이 극의 원고를 당신에게 바치오." 이렇게 힘든 가족사를 왜 그는 작품으로 쓸 생각을 했을까? 나의 짧은 생각으로는 알 수가 없지만 이렇게 해서라도 가족과 화해하고 싶은 마음은 아니었을까? 누구에게든 가족사는 드러내기 힘든 이야기이고 아픔이라는 점에서 <밤으로의 긴 여로>는 공감의 폭이 큰 작품이라 하겠다.



부부간의 대화 부족, 부자간에 보이는 불화, 형제간의 질투 등 가족 간에 있을 수 있는 불화는 다 짊어지고 있는 티론 가족은 잘못이 상대에게 있다고 여기며 불만을 안고 살아간다. 그런데 이런 불화는 해소되지 못하고 지속된다. 소통의 부재가 그 원인일까? 그 불화의 중심에 아버지와 큰 아들이 서 있다. 가장인 티론은 돈이 아까워 부인의 치료를 제때에 제대로 하지 못해 오랜 시간 요양원에서 보내게 했고 이제는 둘째인 에드먼드의 폐병 치료도 돈이 덜 들어가는 요양소로 보내기로 한 것에 장남인 제임스는 불만을 터트리며 아버지와 맞서게 된다.   아버지는 돈이 생기는 대로 알코올을 찾는 아들을 나무라고 아들은 자린고비 같은 아버지를 탓하며 서로를 질타하고 상처의 말을 쏟아놓는다.



가족이라고 해서 소통이 잘 되고 성격적으로 잘 맞는 것은 아니다. 친구나 동료, 조직은 나와 맞지 않거나 관계가 힘들면 끊을 수도 있지만 가족은 내가 선택할 수 없고 끊을 수 없다는 점에서 더 괴롭고 힘든 존재들이다. 그래서 가족이 준 상처는 더 오래 남을 수 있다. 그 상처는 가족을 제외한 인간관계에 영향을 주기도 하고. 유진 오닐은 오래 묵은 자신의 슬픔과 가족과의 화해를 <밤으로의 긴 여로>를 통해 이뤘을지 모른다. 아침부터 저녁 6시 30분 경까지의 한 가족의 대화로 이루어진 <밤으로의 긴 여로>를 통해 가족이 무엇인지, 역으로 행복한 가족의 모습이 어때야 하는지 생각하게하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