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 스페셜 에디션 - 영혼의 시 100선이 추가된, 요즘책방 책 읽어드립니다
헤르만 헤세 지음, 서상원 옮김 / 스타북스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데미안 I 헤르만 헤세 I 서상원 옮김 I 스타북스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버둥거린다.

그 알은 새의 세계다. 알에서 빠져 나오려면 하나의 세계를 파괴하지 않으면 안 된다.

새는 신의 곁으로 날아간다. 그 신의 이름은 아브락사스라 한다. "

때는 중학생 시절. 추천도서라서 읽어 본 <데미안>은 싱클레어가 성장해 가는 이야기였고 뒤로 갈수록 너무 어려웠으며 현실과 꿈과 환상을 오고 가는 내용들을 분간하기 어려웠다. 그저 알이 자신의 세계를 깨고 나와서 성장의 세계로 나아간다는 느낌이 강했었는데 이제 강산이 몇 번 바뀌고 다시 읽는 <데미안>은 역시 어려웠다. 그동안 나는 성장하지 못한 건가? 싶게 어려웠다헤르만 헤세의 성장 이야기를 언제쯤이면 완벽하게 이해할까 싶은 생각에 나의 지난 생이 얇아진 느낌이다성장의 이야기는 언제나 나의 화두가 된다. 그런 면에서 <데미안>은 죽을 때까지 읽어야 할 책이다. 살면서 어려움을 종종 만나고 두려움을 느낄 때도 많다. 나이가 들수록 두려움이 커지는 듯하다. 그 두려움은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늘 해답은 '' 속에 있을 것이다. 그것을 알려주는 책. 성장의 아이콘, <데미안>. 이번 스타북스의 <스페셜 에디션 데미안>은 헤르만 헤세의 시 100선을 만날 수 있다. 한 권으로 소설과 시를 만날 수 있는 12조의 기회이다. 아직 읽지 않으신 분들이 있다면, 안개 같은 두려움을 조금은 형상화시키고 싶다면 이번 기회에 꼭 읽으시길 추천한다. 우리의 성장은 쉽게 이뤄지지 않으므로.

헤르만 헤세는 시인으로도 유명하다. 그의 시 중 <열병을 앓는 사람>은 마치 <데미안>을 축소해놓은 시가 아닐까 싶다. 특히 <청춘의 초상>은 방황을 끝낸 후 싱클레어가 썼을까 싶은 느낌이다. <데미안>속에서도 어머니의 존재를 이야기하지만 여러 시들에서도 어머니가 자주 거론된다. 진정 하고 싶은 말을 가명인 에밀 싱클레어로 출간했다고 하니 <데미안>이야말로 그를 가장 잘 표현한 작품이 아닐까?

성장기에는 미래에 대한 불안을 느낄 수도 있고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서 고민하게 된다. 정체성과 맞물려 종교도 자신을 흔들어 놓는 이유가 된다. 이러한 문제들이 <데미안>에서는 주인공 싱클레어보다 몇 살 더 많은 데미안이라는 인물로 인해 치열하게 고민하는 싱클레어의 모습을 보여준다. 데미안은 싱클레어에게 롤 모델이 되었을 수도 있고 더욱 방황하도록 만든 존재가 되었을 수도 있다. 싱클레어의 이분화된 세계에서 데미안이라는 또 다른 세계와 만나며 자신이 속했고 믿었던 세계가 데미안이 주장하는 세계와 정반대되는 지각의 흔들림 때문에 싱클레어는 흔들렸고 방황했다. 이 흔들림과 방황은 싱클레어의 이야기가 끝날 때까지 계속되는 듯하다. 어쩌면 이 방황은 정도의 차이일 뿐 누구에게나 죽음을 맞이할 때까지 계속되는 싸이클 같다는 생각도 든다.

싱클레어의 성장은 정체성의 흔들림 속에서 온다. 자신의 꿈속 새의 문장을 그려 데미안에게 보내자 답장에는 알을 깨야, 즉 자신의 세계를 뚫고 나와 야만이 또 다른 성장을 만날 수 있다는 데미안의 편지는 의미심장하다. 한층 높은 성장을 하기 위해 버둥거리는 새, 그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고 성장하는 것이 아니다. 또 다른 험난한 세계가 기다리는 것이다. 그 새는 싱클레어이고 우리 모두를 가리킨다. 아픈 만큼 성장해야 한다는 인과론을 이해하고 나면 왜?라는 의문을 품게 된다. 아브락사스라는 신은 그노시스파 신의 이름이다. 왜 하필 헤르만 헤세는 그노시스파의 신의 이름을 거론했을까? 종교도 시대에 맞춰 성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당시 헤르만 헤세는 부정적 종교관을 꼬집고자 의도적인 장치로 쓴 것은 아닐까 추측해본다.

자신의 정체성과 종교적 태도가 성장을 하는 싱클레어는 그림을 그리고 데미안을 보았다. 하지만 그것은 자신의 모습이었고 데미안으로부터 자신 또한 '표지'가 있음을 확인한다. 표지라는 것은 어떤 것일까? 나는 작가가 말한 "인간의 생애란 각자가 자기 자신이 지향한 바에 도달하기 위한 길, 다시 말해서 '자기 자신에 도달하기 위한 하나의 길인 것이다."에서 답을 찾았다. 자기 자신이 지향한 바에 도달하기 위한 길을 열심히 걷는 이들의 그것, 바로 표지가 아닐까?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 자기 자신이 지향한 바를 열심히 찾아가는 이에게 보이는 상징적 의미로 받아들였다. 성장이라는 것은 도전이고 기회이며 노력이고 지향이며 목표다. 한 걸음 더 성장하기 위해 우리는 기회를 통해 도전하고 노력하며 지향하는 것, 바로 <데미안>이 하고 싶은 말인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