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릿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
윌리엄 세익스피어 지음, 최종철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햄릿 I 셰익스피어 I 최종철 옮김 I 민음사



있음이냐 없음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어느 게 더 고귀한가. 난폭한 운명의 돌팔매와 화살을 맞는 건가,

아니면 무기 들고 고해와 대항하여 싸우다가 끝장을 내는 건가.



햄릿왕자는 아버지 햄릿 왕의 죽음으로 괴로워하고 있다. 돌아가신지 두 달 밖에 되지 않았는데 어머니마저 삼촌의 부인이 되니 아버지를 잃은 슬픔과 어머니에 대한 혐오감 때문에 괴로워 독일의 비텐베르크 학교로 다시 돌아가려 한다. 그러나 왕은 아들로서 덴마크에 머물며 왕위 계승자로 지목한다.


이런 때 성위의 망대에서 왕의 근위대원들이 햄릿 선왕의 유령을 보고 햄릿 왕자에게 전한다. 그리고 만나게 된 유령은 햄릿에게 자신이 죽은 이유를 말해준다. 자고 있는 자신에게 삼촌이 나병을 일으키는 증류액을 귀에 쏟아부어 독살당했기 때문이며 아들로서 복수하기를 또한 어머니에 대해서는 스스로 벌을 주도록 맡기라 한다. 모든 것을 알게 된 햄릿은 괴로워하며 미친 척 행동한다. 그리고 사랑했던 오필리아에게 악담을 퍼붓는다. 이것을 오필리아의 아버지인 폴로니어스(재상)는 오필리아에 대한 상사병으로 왕에게 보고하고 왕과 왕비는 잘 해결되길 바란다. 그러나 햄릿은 삼촌이 아버지를 죽인 행위를 연극으로 만들어 배우들을 통해 많은 이들 앞에서 연기하게 한다.


연극 후 햄릿과 대화하고자하는 왕비. 햄릿은 어머니에게 혐오의 말들을 퍼붓는다. 그런데 누군가 숨어서 이야기를 듣는 낌새를 차리고 햄릿은 바로 칼을 들어 죽여버리는데, 오필리아의 아버지인 폴로니어스였다. 결국 햄릿은 왕에 의해 영국으로 쫓겨나고 왕은 영국 왕에게 편지를 보낸다. 즉각 햄릿을 죽이라는 내용으로. 한편 아버지가 죽고 햄릿에게서 사랑마저 잃은 오필리아는 실성하고 왕에게 충성했던 아버지를 잃은 폴로니어스의 아들 레어티즈는 복수의 칼을 간다.




품위와 수줍음을 흐려놓고, 미덕을 위선이라 부르며,

순수한 사랑의 고운 이마에서 장미꽃을 앗아가고 거기에 창녀 낙인 찍으며혼인서약을 노름꾼의 거짓 맹세처럼 만드는 그런 행동--

, 계약이란 몸체에서 혼을 뽑아버리고, 종교의식을 한낱 말치레로 만드는 그런 행위 말입니다.

하늘이 얼굴을 붉히고, 이 단단한 지구가 최후심판 맞은 듯 슬퍼하는 모습을 내려보며그 행동에 가슴 아파합니다.





<햄릿>1601년도의 작품이다. 17세기가 시작되는 해에 쓰여졌으니 고전 중의 고전이다. <햄릿>은 비극작품이다. 비극 중에서 온갖 비극을 다 껴안고 있는 작품이 아닐까 싶다. 햄릿의 삼촌 클로디어스가 거스루트를 사랑해서 모든 것을 계획하고 형인 덴마크 왕을 죽인다. 모든 비극은 그의 욕심으로부터 시작된 것이다. 당시 형수와의 결혼은 교회가 명시적으로 금지한 근친상간이었다고 한다. 정조를 지키지 못하고 숙모가 되어버린 어머니를 햄릿은 혐오한다. 같은 여성이라는 이유로 햄릿은 사랑했던 오필리아마저 혐오하게 되고 오필리아는 변한 그의 마음과 아버지의 죽음으로 실성하게 되고 결국 죽음에 이른다. 오필리아의 죽음과 그녀의 아버지 폴로니어스의 죽음은 결국 레어티즈가 복수의 화신이 되는 계기가 되었고 햄릿의 삼촌인 폴로디어스와 음모를 계획한다. 이 음모는 결국 모두를 죽음의 그림자에 둘러싸이게 되는 결말을 부른다. 비극적 엔딩의 <햄릿>, 총체적 비극의 집합체이다.


햄릿은 온갖 비극을 담고 있지만 비극을 맞은 한 남자의 내적갈등을 다룬 점을 지적하고 싶다. 햄릿은 어머니의 재혼으로 굉장히 괴로워하고 삼촌을 죽일 수 있는 기회가 있었음에도 실행하지 못한다. 또한 자살하려고 고민도 한다. 그래서 결국 그는 미친 척 행동하게 된다. 사랑했던 여인의 아버지를 죽이고 여인은 실성하고 결국 그의 오빠와 대결하게 되는 설정은 가장 비극적인 사랑이 아닐까 싶다. 이러한 배경, 정치와 비극적 사랑, 가족애, 복수 등이 포괄적으로 담겨 있는 <햄릿>은 왜 <햄릿>400년이 넘은 지금까지도 끊임없이 우리에게 사랑받고 연극무대에 올려지는지 알 수 있다.


희곡으로 쓰여진 <햄릿>은 비교적 짧다. 그러나 그 안에 아주 많은 사건들이 포함되어 있고 사건은 속도감있게 전개된다. 햄릿에서는 가장 유명한 대사를 만나게 되는데 우리가 대중적으로 알던 문장은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였다. 하지만 민음사의 <햄릿>은 있음이냐 없음이냐로 해석하고 있다. 햄릿은 분명 자신에게 닥친 비극으로 내적으로 고민과 갈등이 많았던 캐릭터였고 나아가 자살까지 생각을 했던 인물이므로 죽느냐 사느냐라고 해석을 하는 것이 더 어울리지 않나 싶다.


햄릿에서 인상적이었던 것은 400년전의 문장들이다보니 지금 보면 웃음이 나오기도 하는데 익숙하지만 예를 들면 "약한 자여, 네 이름은 여자로다."라는 문장과 "가장 정숙한 처녀가 자기 아름다움을 달에게만 드러내도 방탕하기 짝이 없어." 또는 "그건 제 기억 속에 가뒀으니, 오빠가 열쇠를 간직하고 계셔요."라는 문장은 보수적 성향의 극치를 보여주기도 하고 낭만적이기도 하다. 이런 문장들이 실제 쓰였는지는 모르겠지만 400년 전의 문학작품 속 이런 문장들은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그때를 돌아보고 온 느낌이 든다. 참고로 햄릿의 표지는 오필리아의 죽음이라는 제목의 그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