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람스를 좋아하세요...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79
프랑수아즈 사강 지음, 김남주 옮김 / 민음사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I 프랑수아즈 사강 I 김남주 옮김 I 민음사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자기 자신 이외의 것, 자기 생활 너머의 것을 좋아할 여유를 

그녀는 여전히 갖고 있기는 할까?





서른 아홉 살의 폴은 이혼녀로 로제와 연인 사이였고 로제를 사랑했고 늘 그를 기다렸고 그리웠했다. 그러나 여자가 원하는 것을 주지 않는 남자로제는 하룻밤 창녀와 밤을 보내는 것을 예사로 생각하는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였다. 어느 날 실내장식가인 폴은 한 부인의 집을 장식해주기로 하고 방문한다. 그 집의 아들인 시몽은 스물 다섯 살의 변호사로 젊고 잘생긴 청년이었는데 폴을 본 순간 사랑에 빠진다.



적극적으로 마음을 표현하는 시몽, 그러나 폴은 시몽과의 나이차이를 생각하며 주춤한다. 브람스를 좋아하냐며 편지로 폴에게 물어오는 시몽. 둘은 연주회에 다녀온다. 그리고 시몽은 폴에게 로제를 사랑하지만 늘 혼자이고 혼자 잠드는 폴의 현실에 대해 들려주고 자신의 마음을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당신에겐 그런 말을 할 권리가 없어요....."라고 말하며 그녀는 자리에서 일어섰다.

"제겐 그럴 권리가 있습니다. 제겐 당신을 사랑할 권리가 있고, 할 수만 있다면 그에게서 당신을 빼앗아 올 권리가 있습니다."





적극적인 시몽, 출장 중인 로제 사이에서 갈등하던 폴은 시몽과 함께 지내게 된다. 그리고 첫날 밤 둘은 잠을 이루지 못한다. 폴을 너무나 사랑하는 시몽, 로제는 폴과 시몽과의 관계를 알고 질투에 빠진다. 그리고 폴을 되찾아오려고 한다. 자신의 잘못을 폴에게 사과하는 로제.....






폴과 로제는 오래된 연인이고 폴은 늘 부재 중인 로제를 사랑하며 그와 함께 정착하고 싶어한다. 그러나 로제는 마흔이 넘은 폴 이외에도 다른 여자를 두고 자유롭게 살아가는 남자이다. 로제가 다른 여자를 만나고 있는 것을 폴도 알고 있지만 폴은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로제와 공유할 때 로제가 떠나갈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갖고 있는 것일까? 그녀는 늘 참고 기다리는 것에 익숙해 있다. 두 사람의 오랜 연인 관계에 뛰어든 새로운 남자가 바로 시몽이다그는 스물 다섯 살의 변호사로 잘 생겼다. 특히 폴에게 사랑을 주지 않는 로제에 반해 시몽은 자신의 사랑을 적극적으로 표현한다.



<브람스를 좋아하세요>라는 제목은 소설 속에서 시몽이 폴에게 쓴 편지에 나온다. 브람스를 좋아하세요라고 물으며 연주회에 갈것을 권유하는데 왜 하필 브람스일까? 프랑스인들은 브람스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것은 바로 일상적이지 않는 것, 바로 일탈을 의미한다. 이 소설은 60년 전에 출간되었다. 60년 전에 마흔이 다 된 여자가 이십대의 잘 생긴 청년과 단 둘이 연주회를 보고 데이트를 한다는 것은 여자 입장에서는 상당히 주위를 의식할 수 밖에 없는 일탈인 것이다. 이 일탈을 폴은 받아들이고 그와 연인관계로 돌입한다. 그리고 시작된 그들의 삼각관계. 로제와 달리 폴에게 늘 기대고 의지하고 의견을 묻는 시몽에게서 폴은 조금 불편함을 느낀다.



폴과 연인관계가 되기 전 시몽은 폴과 식사를 하며 그녀를 즐겁게 해주려 한다. 그러다 자신이 맡았던 치정사건의 재판과정에 대해 얘기하는데 손가락으로 폴을 가리키며 말하는 대목이 있다. 그는 "행복해야 할 의무를 소홀히 한 죄로 고독 형을 선고한다."고 말한다. 재판과정에서 있었던 일이지만 마치 폴에게 해당되는 말 같다. 폴이 끝내 로제를 선택하는 것, 이것은 바로 기성세대의 특징을 말한 것이 아닐까? 새로운 것에 대한 두려움이 없이 남들의 눈을 의식하지 않고 자신의 마음이 이끄는 대로 행동하는 시몽에 비해 폴과 로제는 익숙함에 길들여져 결국 다시 서로를 찾는다는 설정은 단순한 남녀관계를 떠나 기성세대의 사랑과 신세대의 사랑에 대해 말하고자 했던 작가의 의도가 아닐까 싶다. 시몽이 떠날 때 폴은 "이제 난 늙었어. 늙은 것 같아...... " 라고 말한다. 새롭게 일탈하는 사랑을 하기에는 스스로가 늙었다고 생각하는 폴의 대사야말로 새로움보다는 익숙한 것, 안주하는 것을 바라는 기성세대의 사랑을 콕 집어낸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슬픔이여, 안녕>을 쓴 프랑수와즈 사강.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한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고 말해 충격을 준 작가이다. <슬픔이여, 안녕>은 무려 열여덞 살 때 두 서너달 만에 써냈고 그해 비평가 상을 받게 된다. 대단한 작가이다. 그녀와의 두 번째 만남 <브람스를 좋아하세요><슬픔이여, 안녕>을 읽은 지 오래되었지만 슬픔과 낯설음을 이겨내려는 의지와 그 슬픔이 가슴 안에서 차곡차곡 쌓여가는 애처로운 느낌이라는 점에서 분위기가 비슷하다. 이 소설을 사강은 스물 네살에 썼다는데 서른아홉살의 이혼녀가 사랑하는 남자를 기다리는 마음과 마흔이 넘은 자유로운 영혼의 캐릭터에 대해 쓴다는 것이 가능할까? 쓸 수는 있지만 얼마나 공감할 수 있느냐는 큰 차이일 것이다.



<#브람스를좋아하세요>는 사랑에 의미를 두지 않는 남자와 그를 사랑하는 여인, 그리고 그녀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며 사랑하는 젊은 남자의 삼각관계를 통해 기성세대와 신세대의 사랑에 대한 태도에 대해 잘 그려내고 있다. 짧기도 하지만 큰 줄거리는 없는, 그러나 오래된 연인의 심리를 잘 묘사하고 있다. 나라면 어땠을까 하고 고민해보게 되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